학술논문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during the Research Year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문현심 유기웅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683~7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학습이론에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학습경험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년에 참여한 9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에 따라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의 체계적 접근에 따라 현상 이해, 범주 관계성, 이론 통합의 세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현상 이해 분석에서 다수의 개념과 17개의 범주를 추출하였다. 핵심 범주인 ‘교육연구력 성장 동력을 통한 전문성 꽃피우기’를 도출하고, 분석 결과들을 통합하여 정교화함으로써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관한 이론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년에 참여했으며, 다양한 학습경험을 통해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지속적이고 능동적인 자기주도 학습자의 태도를 보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해 의사소통, 협력, 학습 공유 등의 협력적 학습경험을 했다. 이 학습공동체는 협력적 학습의 장이 되었으며, 학습과 경험의 확장을 촉진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현장으로 복귀한 후에도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통해 얻은 성장 경험과 배움을 실천에 환류하며, 이를 통해 성장의 선순환을 이루는 실천적 학습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경험을 학습이론과 접목하여 고찰하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경험, 협력적 학습경험, 실천적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학습 과정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systematically specify it by applying it to learning theory. It also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learning experience process of nin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research year using grounded theory methods. Following the systematic approach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phenomenon understanding, category relationships, and theory integration, and a number of concepts and 17 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analysis. By deriving the core category of ‘blossoming of expertise through the growth engine of educational research capabilities’ and integrating and elaborating the analysis results, the theory of the learning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ting teachers in the research year was presented as a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voluntarily selected the research topic,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year, and showed the attitude of continuous and active self-directed learners by accumulating learning experiences in various fields and making consistent efforts to grow as expert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such as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learning sharing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network. This learning community became a pla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moted expansion of learning and experience. Third, even after returning to the fiel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turned the growth experience and learning gained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earning into practice, and through this, had a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that formed a virtuous cycle of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learning experience was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learning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process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discussed, foc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