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13

영문명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eaching Competencies Based on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al Profiles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 Focus on Expectancy-Value Theor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장나영 박소영 이유경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111~14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대-가치-비용에 근거하여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를 사람 중심 분석으로 유형화하고 교직선택동기의 유형에 따라 예비교사의 진로준비행동과 교수역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충북, 충남, 대구, 부산, 전남에 소재한 8개의 일반대학 및 교원양성대학의 350명의 초중등 예비교사의 온라인 설문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BCH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는 ‘고기대-고가치-고비용’, ‘중상기대-중상가치-중상비용’, ‘고기대-고가치-저비용’, ‘중기대-중가치-고비용’, ‘중기대-중가치-중비용’의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BCH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기대와 가치가 높은 유형의 예비교사가 비용의 수준에 관계 없이 진로준비행동과 교수역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변수 중심 분석에서 밝힐 수 없었던 개인 내 기대-가치-비용의 조합을 통한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대한 이해를 더하였으며, 교직이라는 상황에서는 비용보다 기대와 가치가 중요함을 밝혔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using person-centered analysis based on the expectancy-value-cost framework, and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eaching competencies across these motivational profiles. Latent profile analysis of online survey data from 350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8 general and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in Seoul, Incheon, Chungbuk, Chungnam, Daegu, Busan, and Chunnam revealed five distinct motivational profiles: 'high expectancy-high value-high cost,' 'moderately high expectancy-moderately high value-moderately high cost,' 'high expectancy-high value-low cost,' 'moderate expectancy-moderate value-high cost,' and 'moderate expectancy-moderate value-moderate cost.'. BCH analysis indicated that profiles with higher expectancy and valu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eaching competencies regardless of the level of cost. This study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motivation types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combinations of expectancy-value-cost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variable-centered analyses, highlighting that in the context of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expectations and value are more important than cost.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나영,박소영,이유경. (2024).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1 (3), 111-140

MLA

장나영,박소영,이유경.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1.3(2024): 11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