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newly appointed vice principal of a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노길명 이재덕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627~6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령 1년 미만의 초등학교 교감을 대상으로, 교감 역할수행 과정에서 겪는 리더십 실천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초임교감 세 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리더십 실천내용을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세 명의 초임교감들은 학교 업무, 학부모 민원, 그리고 학교 구성원 간 갈등 상황을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초임교감들은 적응기에 교감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차이를 경험했으며, 적응과 극복, 성장의 과정을 통해 교감으로서의 리더십을 실천하였다. 둘째, 교감들은 과업 중심보다는 관계 중심의 리더십, 즉 인간관계 접근을 더 중점적으로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교감이라는 중간관리자의 위치에서 리더십 실천에 한계를 느끼면서도,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교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라 관리자에게 다양한 상황적 리더십이 요구됨을 시사하며, 초임교감들이 원활한 관계 형성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과의 관계능력을 증진하는 구체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depth the leadership practice experience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ole of vice principal among first-time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who have been appointed for less than one year. To this end, we attempted to interpret the leadership practices of three first-time vice principal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three first-time vice principals experienced situations of school work, parent complaints, and conflict between school members, and were practicing leadership in the process. As a result of the narrative inquiry, the educational leadership they practiced was summarized. First, the first-time vice principals experienced differences in role expectations and role performance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and demonstrated leadership as vice principals through the transitional stages of adaptation, overcoming, and growth. Second, the vice principals were focusing on practicing relationship-centered (human relations approach) leadership rather than task-centered leadership. Third, the position of a middle manager as an assistant principal served as a limitation in practicing leader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vice principals need a variety of situ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chool, and suggests the need for specific support to enhance relationship skills with school members so that first-time vice-principals can demonstrate leadership through smooth relationship formation.
목차
I . 내러티브를 시작하며
II. 선행연구 분석
III. 연구방법
IV. 초임교감의 리더십 경험 이야기
V. ‘다시’ 이야기하기: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
VI. 내러티브를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