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Cooperation Patterns and Mechanisms of Participants in the School Practicum Semeste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인영 주정흔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403~43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실습학기제라는 낯선 제도 시행에서 협력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학기제 시범운영 과정에서 협력을 위한 제도적 혹은 구조적 장치는 무엇이었으며, 이들은 두 기관의 협력 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였나? 둘째, 협력적 실습학기제 시범운영을 가능케 했던 참여 주체들의 공통된 내적 기제는 무엇이었으며, 이는 협력적 교육실습 생태계 구축에 어떻게 작용했나? 이 연구는 2023년 2학기 A 대학교 수학교육과 실습학기제 시범운영 과정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결과, 실습학기제 시범운영을 위한 외적 장치의 효과는 참여 학과마다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가져온 변인은 참여자의 인식과 태도였다. A 대학교 수학교육과의 세 주체는 ‘서로를 인정하는 마음’으로 ‘수평적인 관계’에서 ‘협력적으로 소통’했다. 이러한 내적 기제는 제도적, 구조적 협력 장치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 덕분에 세 주체가 모두 실습학기제를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is cooperation possible in finding an unfamiliar system called the practicum semester system?’ The key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institutional or structural mechanisms for cooperation in the course of pilot operation of the practical semester system, and how did they work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Second, what were the common internal mechanisms of the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successfully operate the cooperative practical semester system, and how did they work to build a cooperative educational practice ecosystem? This study is a case study targeting the pilot operation proces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practical semester system at University A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ffectiveness of external devices for operating the practical semester system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participating department. What brought about this difference wa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not external cooperation mechanisms. The three subjects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University A ‘recognized’ each other as subjects with expertise in teacher education and were ‘cooperatively communicating’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This internal mechanism went beyond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cooperation mechanisms As a result, all three stakeholders were able to learn and grow through the School Practicum Semester System.
목차
I . 서론
II . 실습학기제에 대한 이해
III. 연구방법
IV. 협력을 위한 외적 장치의 빛과 그림자
V. 협력적 실습을 위한 참여 주체의 내적 기제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