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이용수 134
- 영문명
- Exploring curricular conditions for enhancing teachers' agency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features of the IB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주 조현영 박진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489~5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래 교육의 새로운 학습관과 변화된 지식관은 탐구 중심의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에 대한 높은 기대와 함께 교사의 역할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의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변화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 교사의 행위주체성은 새로운 교사의 역할과 정체성을 함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IB 프로그램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용 방식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B MYP의 교수학습 설계 원리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의 조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B 프로그램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실천을 촉진하는 조건으로 개념과 세계적 맥락을 활용한 교과 통합 수업의 설계, 조정을 통한 평가 표준화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함의점을 갖는다. 첫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추상성과 구체성 사이의 의미를 합의해 가는 실천의 과정이었다. 둘째, IB의 분명한 목표와 기준의 제시는 공동체의 비전이 되어 교사들의 공동체성을 촉진하는 동력이 되고 있었다. 셋째, IB MYP는 프로그램 내적 요소 간의 연결과 통합을 통해 교육의 목표와 문화, 교사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래 교육에서 개별성과 보편성이라는 두 가치의 공존가능성과 관련하여 교육과정과 평가의 방향성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new learning perspective and the changed knowledg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demand a change in the role of teachers along with high expectations for education for fostering inquiry-centered capabilities. In order to implement a learner-centered, flexible, and individualized curriculum while supporting the growth of learners, it has becom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develop the chang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particular, the recent subjectivity of teachers implies a new role and identity of teacher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being paid attention to as support for such teacher practice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method of utiliz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IB program against this background.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of the IB MY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design and adjustment of integrated classes utilizing concepts and global contexts as conditions for promoting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the IB program, and the standardization of assessment through coordinati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was a process of practice that agreed on the meaning between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Second, the presentation of clear goals and standards of the IB became a vision of the community and served as a driving force to promote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eachers. Third, the IB MYP was establishing the goals and culture of education and the identity of teachers through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elements within the program.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the two values of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in future education.
목차
I . 들어가는 말
II . 연구의 배경: 교사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III.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위한 IB MYP의 체제적 특징
IV. 결론 및 합의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