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이용수 46
- 영문명
- Issues and task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supply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은영 윤혜원 신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31~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원수급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여 시스템사고를 기반으로 초등 교원수급정책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주요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교원수급정책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통계자료, 선행연구, 신문기사 등을 바탕으로 도출하여 인과순환지도를 작성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원수요와 신규교원 선발 인원의 불균형, 양질의 교원수급을 위한 고려의 부재, 교원 양성기관의 입학정원과 실제 교원 수급의 불일치, 그리고 경제 논리와 교육 논리 간의 충돌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원의 수요와 공급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양질의 교사 공급을 위해 교원 양성기관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원수급정책 수립의 법제화와 중앙정부와 지방 교육청이 연계된 전문기구 설립을 통해 유연한 교원수급정책을 위한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효과적인 수립과 실행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eacher supply and demand, identified problems, and comprehensively diagnosed elementary school teacher supply policies based on systems thinking, ultimately deriving key issues and tasks. To achieve this, variables affecting teacher supply policies were derived using statistical data, previous research, and newspaper articles, and a causal loop diagram was crea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mbalances between teacher demand and the number of newly appointed teachers,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supply of quality teachers, discrepancies between the enrollment capacit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actual supply of teachers, and the conflict between economic and educational logic were identified as major issues. To address these problems, a systematic approach that comprehensively manages teacher demand and supply is necessary. Additionally, to ensure the supply of quality teachers, it is essentia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legislate the establishment of teacher supply policies, and establish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eacher supply planning in coordination with central and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long with creating mechanisms for flexible teacher supply polic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effectiv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supply policies.
목차
I . 서론
II . 초등 교원수급 실태와 정책 특성
III. 시스템사고에 기반한 초등교원 수급정책 인과지도
IV.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