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42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Basic Academic Skill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강현숙 이문수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575~60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초학력 보장법」에 근거한 책무성을 바탕으로 기초학력 지도 시 요구되는 초등교사의 역량 요인과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분석과 기초학력 지도 및 정책 관련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44개의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경상남도 초등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 조사를 하였다. 진단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 673명을 대상으로 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최종 선정된 19개 문항에 대한 모형 적합도는 CFI= .971, TLI= .964, RMSEA= .059, SRMR= .032로 수용가능한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진단도구의 수렴타당도를 판단하는 요인부하량은 .757~.936이고, Cronbach’α> .85, CR> .853, AVE> .659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형-단일형 상관관계 비율을 활용한 HTML 결과에서 6개 요인의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는 총 6개의 영역으로 기초학력 정책의 이해, 학습지원대상학생 이해, 기초학력 부진 예방, 기초학력 진단, 기초학력 지도, 기초학력 지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최종 진단도구는 1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assess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basic academic skills based on the Basic Academic Enhancement Act to support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learning. A preliminary set of 44 items was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with 2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Gyeongsangnam-Do, followed by a main survey with 673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to validate the tool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final selection of 19 items demonstrated good model fit indices: CFI = .971, TLI = .964, RMSEA = .059, and SRMR = .032. The factor loadings for determining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diagnostic tool ranged from .757 to .936. The tool also showed high reliability with Cronbach's α > .85, CR > .853, and AVE > .659.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ix factors was confirmed using the HTMT ratio of correlations. The scale for assess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basic academic skills consists of six domains: understand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 policies, understanding students requiring learning support, preventing basic academic underachievement, diagnosing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teaching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and supporting their basic academic achievement. The final scale was confirmed to consist of 19 item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숙,이문수. (2024).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41 (3), 575-601

MLA

강현숙,이문수.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41.3(2024): 575-6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