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Student Behavior and Classroom Managem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 and Four OECD Countries Using PISA 2022 Data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서연 한인숙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3호, 433~4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22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과 OECD 4개국(호주, 코스타리카, 독일, 포르투갈) 교사들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 문제행동 관리 및 학급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성 계발 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효과적인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 교사들은 OECD 4개국 교사와 유사하게 높은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관련 연수 요구도를 보였다. 그러나 OECD 4개 국가 교사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 교사들은 과거 관련 교육이나 연수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 분산분석 결과, 집단별로 연수 요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수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별화 학습 지도와 교사-부모간 협력 연수도가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연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과 학생들의 학습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raining needs of teachers in Korea and four OECD countries (Australia, Costa Rica, Germany, and Portugal) regarding student behavioral problems and classroom management, using PISA 2022 data. The study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student behavior management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Korean teachers exhibited similarly high training needs for behavioral problems and classroom management as teachers in the four OECD countries. When compared to the train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four OECD countries, Korean teachers had less prior education or training experience in these area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OVA analyses of training needs by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eachers from Korea and the four OECD countri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training needs for student behavioral problems and classroom management. Results commonly showed that training needs for individualized learning instruction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raining needs for student behavioral problems and classroom management.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that reflect teachers' training needs. It discusses the requirements for such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e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사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 교원수급정책의 쟁점과 과제
- 아동학대 피신고 교원들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 개선에 대한 인식 연구
- 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 행동과 교수역량의 차이: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유·초 이음학기 운영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과 요구
- 고등학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자타평가와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분석
- 교사의 디지털 기술 인식・활용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연구
- 저경력 교사의 교직 준비도 잠재 집단 유형별 예측 요인과 결과 변인의 차이 분석
- 학교업무정상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운영 모형 비교: 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들의 경력성공지향에 대한 탐색
- 중등 교원양성기관의 학교현장실습 국제비교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요인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조직공정성과 교직 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ISA 2022를 활용한 OECD 4개국 교사와 한국 교사의 학생 문제행동 및 학급운영 연수 요구도 비교 분석
-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참여 주체의 협력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 예비교사의 현장 중심 문제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자의 교수 방법 탐구
- 교사의 행위주체성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조건 탐색 : IB의 탐구기반 교수학습의 특징을 중심으로
- 농산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장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등교사 기초학력 지도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교직사회화 전략 탐색: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감의 리더십 실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지체장애학생을 지도하는 시각장애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 벽지 지역 초등학교 분교장 교사의 교직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연구년 참여 교사의 학습경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