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이용수 438
-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Using Latent Growth Model and Latent Profile Analysis for Overall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소정(Sojung Hong) 양승지(Seung Jee Yang) 김시은(Kim Si Eun)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665~6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초등 3학년~5학년)의 전반적 행복감의 변화 궤적을 분석하고, 전반적 행복감의 변화 양상에 따른 잠재집단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조사'의 10차년도(2017년)~12차년도(2019년)의 3시점 자료를 사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평균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감독과 또래애착은 초등학교 3학년 시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변화에 따라 ‘행복감-상’, ‘가족행복감-하락’, ‘가족행복감-상승’, ‘행복감-하’ 총 4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넷째, 잠재프로파일별 아동의 삶의 만족도, 자아인식, 학교 적응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 증진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overall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ren (third to fifth grades),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s by categorized potential group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10th data(2017) to the 12th data(2019)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happiness average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creased as the grade went up.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supervision and pe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children's overall happiness was divided into four latent profiles: “Happiness-up”, “Family Happiness-down”, “Family Happiness-up”, and “Happiness-down”. Fourth, the results of ANOVA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 showed tha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life, self-awar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verall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