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이용수 321
- 영문명
- Perceptions of children and a teacher in the classroom regarding the role in supporting play during free-choice time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류시은(Ryu Sieun) 김해리(Kim Haeri)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393~4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유놀이시간에 일어나는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S시에 소재한 H유치원 만4세 햇살반 유아 20명과 교사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는 공동놀이자, 새로운 아이디어와 자료 제공, 정서적 지지 등을 통해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였고, 유아들은 이로 인해 놀이가 활성화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교사는 질문 등을 통해 놀이를 변화시키거나 친구와 놀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유아들은 이러한 놀이지원이 자신의 놀이를 방해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함께 놀이하거나 갈등 중재, 도움의 양을 조절하는 것과 관련된 교사의 지원에 대해 자신의 관심과 흥미, 놀이 상황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넷째, 교사는 유아가 놀이를 진행할 때 안전의 문제는 없는지, 놀이를 교육적인 주제와 어떻게 연결시키면 좋은지, 동시다발적인 교실 상황에서 유아들에게 적절한 놀이지원은 무엇인지 등과 같은 고민들을 하고 있었다. 의미있는 놀이지원이 되기 위해서는 세심하고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어떠한 의도로 놀이지원할 것인지, 유아가 필요로 하는 놀이지원은 무엇인지, 언제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 on play support occurring during free play time. 20 four-years-old children and 1 teacher from H kindergarten in S city took part in the study. First, the teacher supported children’s play by being a co-player, providing new ideas and resources, and emotional support. The children believed that the play was expanded in a more fun way and it got vitalized. Secondly, the teacher changes the play through questions or provides opportunities playing with friends, whereas the children thought that play support disrupts their play when they want to play in their own ways. Thirdly, the children’s reaction to the teacher’s play support related to playing together, mediating conflicts,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help varied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and play situations. Fourthly, the teacher was concerned about safety issues while pla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ay and educational subjects, and appropriate play support in simultaneous situations in the classroom. Being a close and careful observation is required for meaningful play support for the children. The teacher should consider what the intention of the play support is, what play support the children need, and when and how to support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