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이용수 38
- 영문명
-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Microteaching Using Integrated Curriculum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문호준(Ho-Jun Moon)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455~47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수업 관찰자의 관점에서 4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해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육 수업의 질적 성장으로서 긍정적 인식을 보인 반면 경험 부족은 부정적 인식으로 간주하였다. 교과 간 통합 수업 후 경험한 인식으로는 타 교과 내용의 비중 선정 및 타 교과목의 제한된 지식에 대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이유로 타 교과 예비교사들과의 협력 수업 실연의 필요성 및 다양한 수업 주제를 적용한 체육수업의 필요성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인식을 통해 교과 간 통합 수업의 사례개발, 협동 수업 실연 기회제공, 중등학교 체육관 내 교육 환경 변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microteaching using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For this, the researcher, as a class observer, collected 47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a reflective journal.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expected to develop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were concerned about lack of experience. While participants’ microteaching was taught, they had difficulty with determining importance of other subjects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lack of knowledge in other subjects. So, they suggested that cooperative microteaching with other majors’ students is required and various topic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applied. In conclusion, cas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opportunities to have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college, and change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secondary schoo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