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이용수 108
- 영문명
- Analysis of items in subject pedagogy of the first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life science teachers from 2014 to 2022: Focusing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cience teaching-learning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준의(Hong Juneuy)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691~7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명과학 교사를 선발하는 중등 생물임용시험은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생물임용 1차시험이 객관식 선발 방식에서 서술-논술형 선발방식으로 바뀐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교과교육학관련 문항 중에서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교수-학습 모형을 다룬 교수-학습의 실제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지식 평가에서 전반적인 수업 상황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바뀌었다. 둘째,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에 대한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수업 상황에서 다루어야 하는 생명과학 관련 내용학 지식도 함께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생명과학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기도 하며 중등생물임용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것은 순환학습이며 순환학습의 여러 유형별 특징에 대한 이해와 적용, 즉, 상+황별 수업 구성 역량이 주요 평가요인이 되고 있다. 넷째, 특정한 교수-학습 이론이나 모형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능력이 중요한 의미로 자리잡고 있다. 교과교육학에서 다루는 여러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내용 구성 능력이 평가의 중요 사항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에 출제되지 않았던 여러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이 출제된 것이 특이하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life science teachers can be considered as one way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part of teaching-learning dealing with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y and teaching-learning model among subject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from 2014 to 2022, when the primary examination for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changed from a multiple-choice selection method to a narrative-essay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knowledge evaluation was changed to an item evaluating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for the overall class situation. Second, it is not limited to understanding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but it is also showing a tendency to evaluate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life sciences that must be dealt with in class situations. Third, it is the most used in life science classes and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 the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exam is circular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ircular learning, that is, the ability to organize classes for each situation, is a major evaluation factor. Fourth, the ability to apply various teaching-learning theories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specific teaching-learning theories or models is positioned as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odels dealt with in subject education and the ability to compose content are becoming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on. It is unique that several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that have not been asked before a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