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98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Nursing Students' Unification Education Experience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도영(Do-You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601~6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통일교육에 대한 그들이 경험을 질적 자료로 표현하므로써 대학생들이 통일교육을 통하여 느끼고 변화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입학 이후 통일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에게 체계적인 통일교육을 실시한 이후 그들이 경험하는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긍정적 인식으로 변화’, ‘지속적 통일교육 필요성 인식’, ‘통일교육 후 적극적 태도 형성’, ‘통일 미래를 위한 리더를 위한 준비’의 총 4가지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통일교육을 통하여 좀 더 자신의 전공과 관련하여 미래를 설계하고 한반도의 평화에 대하여 고민하고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at university students feel and change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by expressing their experience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qualitative data.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1978)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not received unification education before systematic unification education. A total of four thematic collections were derived: ‘Change to a positive perceptio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ontinuous unification education’, ‘Formation of active attitudes after unification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leaders for the future of unifi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university students to design the future related to their major and to think about and prepare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