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tegrating chemistry concepts in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on student learning: The 6th grade spring semester Ecology unit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호(Sungho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259~2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화학(물질)개념을 초등과학의 다른 영역에 통합하여 수업을 하였을 때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 및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6학년 생태단원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두 집단은 진단평가(과학)의 점수를 바탕으로 무작위로 선정되었다. 두 집단 간의 사전 평가 점수는 통계적(t-검정)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과학의 이해도 및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통제하였다. 실험군은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화학영역에서 생태단원과 관련된 화학개념을 선정 후 통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대조군은 교과서의 내용만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생태단원에 대한 이해도 및 학습효과를 측정하는 분석틀은 4개의 주 영역과 12개의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4개의 주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과학적 용어 사용, (2) 사고의 확장, (3) 사고의 적용능력, (4) 과학적 표현력. 측정 결과의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인 Mann 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4개중 3개(과학적 용어 사용, 사고의 확장, 사고의 적용능력)의 주 영역에서 생태단원에 대한 이해도 및 과학 학습의 효과가 차이가 있었으며, 12개의 하부영역 중 7개에서 과학 이해도 및 학습효과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통합수업에 대한 학습효과로 생태단원에 대한 이해도를 설명하기 위한 정확하고 다양한 과학적 용어 사용 증가, 다양한 예시 제시를 통한 사고의 확장, 예제간의 연결성 및 논리적 설명 제시를 통한 사고의 적용능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integrating chemistry concepts in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ffects students’ learning of science, especially in the sixth-grade spring semester ecology unit.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randomly chosen based on pre-test scor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est scores between groups. By selecting equivalent groups for the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control factors that might affect study results. The treatment group was taught using chemistry concepts introduced in the elementary science standard curriculum in conjunction with sixth-grade ecology.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the material as presented in the textbook. This study utilized a framework with four main categories and twelve subcategories. The four main categories are as follows: (1) students’ ability to use scientific terms, (2) students’ ability to provide original examples(i.e., expanded knowledge), (3) students’ ability to connect the original examples and explain those connections logically, (4)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scientific expressions. The study used a non-parametric test of student performance data to calculate statistical differences in each category. The result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learning of the ecology uni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ree of the four main categories and seven of the twelve subcategories. In other words, the integrated instruction affected student learn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ccurate and diverse scientific terms they could use to express their understanding of the ecology unit, expanding the variety of examples they could provide as evidence of understanding, and enhancing the connections they could make between the examples with logical explan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