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33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우영식(Youngsik Woo) 송민옥(Minok S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583~59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총 1,094부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간의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간의 영향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o this end, a total of 1,094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Gyeonggi-do. For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Process Macro was us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between learning immersion, and a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important to increase learning immer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