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이용수 1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Case Analysis of Jihye School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류영철(Youngchul Ryu)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421~45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교육을 주된 교육방법으로 활용하는 대안학교인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해 독서교육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혜학교 교원 3명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전사 후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혜학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교육과정은 필수와 선택과목 구성, 무학년제 가능, 교사와 학생의 수평적 관계, 진로활동 중점, 학폭발생 시 학교 셧다운의 특징을 보였다. 둘째, 교육목표는 인문학적 사유능력 함양을 필두로 독서는 생각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도구이며, 자기해석을 바탕으로 한 자기언어획득이 궁극적 목표이었다. 또한 독서의 자율성, 내적동기 신장, 또래집단과의 협력에서 일반학교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일상적 독서문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셋째, 교육방법은 독서세미나를 주된 방법으로 진행하며 교사와 학생 간 협의를 통한 선택수업 선정, 개별학생 맞춤형, 유비쿼터스적 독서환경, 묵학, 자유로운 질문, 지속적 교사연수 실시의 특징을 보였다. 넷째, 교육평가에서 개인은 형성평가, 자기평가, 에세이를 통한 총괄평가를 진행하고 개인평가를 보충해서 학생들끼리 공유평가 실시, 지혜의 날을 통한 축제로서의 평가의 특징을 보였다. 다섯째, 교육효과는 입시가 아닌 진짜공부, 언어순화, 바른 인성함양, 지적인 이성흠모, 대학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Jihye School, an alternative school that uses reading education as the main educational metho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and nine students from Jihye School.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method after transcrip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Jihye School. First, the curriculum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of essential and optional subjects, the possibility of a no-grade system,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focus on career activities, and the school shutdown in the event of school violence. Second, the educational goal was to develop the power to think, led by cultivating humanities' thinking ability, and the ultimate goal was to acquire self-language based on self-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from general schools in reading autonomy, internal motivation enhancement, and cooperation with peer groups, which leads to the aim of a daily reading culture. Third, the educational method conducted the reading seminar as the main method,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selecting optional classe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ustomized individual students, ubiquitous reading environment, learning in the midst of silence, free questions, and continuous teacher training. Fourth,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dividuals conducted general evaluation through formation evaluation, self-evaluation, and essays, and supplemented individual evaluation to conduct shared evaluation among students, and evaluation as a festival through Wisdom Day. Fifth, the educational effect was not entrance examination, but real study, language purification, cultivation of good character, the pursuit of other intelligent sex with great knowledge and university were not essential but choice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