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이용수 94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Using Digital Inquiry Too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찬솔(Chansol Park) 손정우(Jeongwoo Son)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497~5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과학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탐구도구가 학생의 탐구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기존 탐구도구와 비교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과학 ‘물체의 운동’ 단원을 개별화 학습 형태의 데이터 기반 탐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139명에게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선택하는 탐구도구에 따라 어떤 활동 모습을 보이는지 교육적 어포던스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 수업 전후에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탐구도구를 선택한 학생들은 빠른 데이터 수집과 그래프 분석, 데이터 공유와 활발한 의사소통 등의 특징을 보였다. 둘째,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는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높였고, 특히 디지털 탐구도구를 선택한 집단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탐구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 활동을 데이터 공유와 의사소통에 집중하게 한다. 이러한 디지털 탐구도구의 특징은 초등학교 과학 수업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digital inquiry tools used in recent science classes affect students'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existing inquiry tools. To this end, the “motion of an object” unit of the 5th-grade science subject was developed as a data-based inquiry program in the form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pplied to 139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ffordance, we analyzed what kind of activities students show depending on their selected inquiry tool. We investigated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before and after clas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selected the digital inquiry tool showed characteristics such as fast data collection, graph analysis, data sharing, and active communication. Second, data-based scientific inquiry raised students' awarenes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in particular, increased awareness of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group that selected digital inquiry tools. In conclusion, digital inquiry tools focus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on data sharing and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gital inquiry tools may be helpful in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