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Experiences on the Use of Comic Strips as EFL Reading Materials: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aculty of Health and Welfare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병선(Byungsun, Kim) 손은경(Eun Kyoung Son)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285~3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EFL 환경의 한국 대학생들에게 영어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를 활용해 영어 읽기 활동을 경험하게 한 후, 그 의미의 본질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J 대학 보건 복지학 전공 재학생 8명이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출된 내용은 28개의 중심내용과 7개의 대주제, 그리고 6개의 장점과 1개의 단점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나타난 구체적 현상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재만화가 학습자들의 심리적 부담을 낮춰준다는 것이다. 둘째, 영어어휘 습득이 용이했다는 것이다. 셋째, 영어 읽기 학습에 높은 접근성이다. 넷째, 현지인이 사용하는 실제 삶의 언어를 습득했다는 것이다. 다섯째, 자발적 영어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섯째, 고차원적 사고능력의 향상이다. 일곱째, 영어 읽기 자료로 활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영어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영어 읽기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 세부적인 제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n the use of comic strips as EFL reading materials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research, 8 students majoring in faculty of health and welfare in J Universi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were chose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From 28 significant statements, 7 themes, 6 advantages, and 1 disadvantage were emerged. The findings identified in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burdens of participants were reduced while reading. Second, they perceived that learning English vocabulary is easy. Third, they perceived that comic strips have powerful English reading materials. Forth, they acquired native speakers’ language in daily lives. Fifth, comic strips enables them to enhance self-learning ability Sixth, comic strips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higher-order thinking. Seventh, comic strips had difficulty on applying to English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understood that comic strips needed to improve EFL learners’ reading and at the same time detailed guidelines by English teachers will be suggested for the effective use of comic strip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절차와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