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71
- 영문명
- The effect of language-based reading intervention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주영(Juyou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345~3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5학년 아동 총 30명으로, 실험집단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 15명, 비교집단은 평균지능 아동 15명이다. 실험집단은 개별 또는 짝수업의 형태로 총 30회기 언어기반 읽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언어기반 읽기중재는 중재기간동안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을 향상시켰으며, 효과크기는 영역별로 작음에서 중간으로 나타났다.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은 언어기반 읽기 중재 후 평균지능의 또래 아동이 보이는 읽기이해력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language based reading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to investigate what effect-size is, and whether they can catch the reading comprehension level of normal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with same ages. For this purpose, 15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in local centers were selected and received language based reading intervention. As a result, language based read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and reading intervention effect-size is various from small to medium level. Finally, it is enough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children in the reading intervention period of 30 sessions to catch the abilities of reading comprehension with normal intellectual ability childre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