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이용수 5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asks related to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상빈(Park, Sang Bin) 도종훈(Do, Jong Hoon)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473~4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역량을 교과서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중학교 학년별 5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역량의 명시된 횟수와 과제수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가면서 수학 교과 역량 과제의 수는 감소하는 추세였다. 둘째, 가장 많이 명시된 수학 교과 역량은 1학년은 의사소통 역량, 2, 3학년은 문제해결 역량이었다. 셋째, 수학 교과 역량 과제가 가장 많은 단원은 1학년이 Ⅰ단원, 2학년이 Ⅳ단원, 3학년이 Ⅱ단원이었다. 학년과 단원에 따라 수학 교과 역량을 다루는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고학년일수록 수학 교과 역량 과제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we analyze tasks of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to see how textbooks present the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To this end, we select 5 textbooks for each grades of middle school to analyze the number of tasks and the number of compet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asks of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continued to decrease. Second,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by grade was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first year,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Third, the unit with the highest number of count of tasks of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by grade were unit Ⅰ in 1st grade, unit Ⅳ in 2nd grade, and unit Ⅱ in 3rd grade. In summary, there is a difference about handling of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unit. And the high grades have relatively few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task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core compet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내용 및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