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1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System in the Open School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상철 강성국 도재우 이유리 임규희 김주경 안성훈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225~2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를 진단하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문헌연구, 2)설문조사, 3)전문가 협의회, 4)표적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의 네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실증적 데이터에 기반한 현 체제의 체계적인 진단과 함께 제도 관계자 및 분야별 전문가들의 여러 가지 요구와 의견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4개 부문, 14개 쟁점 가운데 4개는 학습경험인정제 인정대상 영역 확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수혜 확대를 위해 ‘학력미인정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을 인정대상 영역으로 확대하는 방안과 사후평가를 통해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방송중·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를 다룬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논의 중인 ‘학교 밖 학습경험’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system which is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system of the open schools and prepare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four research methods were used: 1) literature studies, 2) surveys, 3) expert councils, 4) focus group interview to systematically diagnose the current system based on empirical data, and to derive improvements based on various demands and opinions from institutional officials and experts. As a result, 14 issues in four areas have been identified. In particular, 4 out of 14 explained the need to expand the area of the subject of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in order to expand the benefits of students. As a specific plan, the scope of recognition was expanded through recognition of learning experiences in lifetime education facilities in the form of unrecognized schools and post-evaluation. This study, which deals with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system of the open schools,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out-of-school learning experience” being discussed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방송중 고 심의 인정 관련 학교현장의 인식 및 요구 분석
Ⅴ. 학습경험인정제 심의 인정 관련 관계자 요구 및 쟁점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