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Narrative Analysis of 3 Year Old Children’s COVID-19 Related Experiences and Thought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해리(Kim Haeri)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363~3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바이러스 전염병이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어 그 영향력을 완화하려는 보호 조치가 강화됨에 따라 어린 유아들이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구 Y병설유치원 만 3세반 7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4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매주 1회 33회의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가졌다. 이야기나누기의 내용은 가정에서의 경험, 일상 경험, 경험에 대한 감정과 변화, 미래에 대한 예상에 대한 내용이었다. 내러티브는 프뢰벨식 교육학적 스토리텔링 접근 방식으로 분석되었으며(Froebel, 1887) 연구 결과 COVID-19 확산 기간동안 만3세 유아들은 COVID-19로 인한 폐쇄성과 침묵을 경험하였다. 반대로 유아들은 COVID-19기간 동안의 가족간의 연결 고리로서의 화합과 통합을 경험하였다. 다음으로 유아들은 COVID-19로 인한 해체이후의 새로운 회복과 생명에 대한 점진적 이해를 반영하는 내러티브를 드러내었으며 실외활동에 대한 내러티브의 증가는 COVID-19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자연과 실외활동의 가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출생 직후부터 COVID-19의 직접적인 영향에 노출되어 만3세까지 성장한 유아들의 경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들어봄으로 유아들의 COVID-19관련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프뢰벨식의 접근 방법으로 고찰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children experienced due to the strengthening of protective measures meant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viral disease’s global spread from their perspective. To this end, discussions were had with 7 children, 3 and a half years old, attending Y Kindergarten in Gangseo-gu, Seoul 1 times a week, 33 times total from April 1st, 2021 to November 30th, 2021. The discussions were about experiences at home, experiences in daily life, changes in feelings toward experiences, and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The narrative was analyzed with the Froebelian pedagogical storytelling approach (Froebel, 1887), and results showed that three year old children experienced isolation and silence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On the other hand, children also experienced unity and integration through connection with their family during the pandemic. Furthermore, children revealed a narrative of gradually understanding recovery and life in a new way after dispers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crease in narratives about outdoor activity showed the increased importance of the value of nature and outdoor activity during the COVID-19 era. By directly hearing about the experiences of children raised until the age of three exposed to the direct impact of COVID-19 from bi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children’s COVID-19 related experiences through the Froebelian approa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