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이용수 235
- 영문명
- The School Sports Club Big Data Sentiment Analysi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성훈(Su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305~3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초·중·고등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하여 일반 대중들의 관심과 인식은 어떠한지 온라인상의 빅데이터를 통해 알아보고자 실행되었다. 텍스톰(TEXTO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5년간의 빅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로 텍스트마이닝, 빈도분석, 감성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연관어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대회, 학교, 교육, 학생, 교육청, 체육, 초등, 스포츠, 전국, 중학교가 상위 10개의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사람들의 감성과 정서를 살펴보기 위해 빅데이터 감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 56.5%, 중립 35.2%, 부정 8.3%로 나타나 사람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과반수이상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연결망 분석과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회 출전’, ‘지역사회 연계’, ‘스포츠 활동’, ‘안내 및 홍보’와 같이 총 4개의 주요 그룹으로 군집화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at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and perception about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through online big data. Data for a total of 5 years from 2017 to 2021 were collected using the TEXTOM program, and text mining,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related words for school sports clubs through big data analysis, competition, school, education, student, office of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ports, nationwide, and middle school were the top 10 keywords. Second, as a result of big data sentiment analysis to examine people's emotions and emotions toward school sports clubs, positive 56.5%, neutral 35.2%, and negative 8.3% were found. It was found that many people have a very positive perception of the school sports club.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a total of four main groups were clustered: 'competition participation', 'community connection', 'sports activity', and 'guide and public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