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이용수 72
- 영문명
-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class effects in inquiry class apply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보라(Kim, Bora) 최원호(Choi, Wonho)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2집 제2호, 201~2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으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을 실시했을 때 과학과 핵심역량과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수업은 물과 에탄올의 성질을 비교하는 주제로 하루 5시간씩 4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매 수업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의 7단계를 경험하도록 구성된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학생들은 이전 탐구 수업에서 제안한 연구 문제를 다음 탐구 수업의 문제 해결 과정에 이용하였으며, 이 형식은 4번의 탐구 수업에서 유지되었다. 이 수업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5개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으며, 수업이 과학과 핵심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핵심역량이 향상되었다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 수업의 주된 특징에는 연구 문제의 제안과 해결 등의 실천,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반성적 사고, 동료와의 소통을 통한 어려움의 해결 등이 있었다. 그래서 학생들의 핵심역량 향상을 위해 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 학습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탐구 과정에서의 실천, 반성적 사고, 소통을 수업에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class effects when an inquiry class apply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was conduct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lass was conducted for 4 days, 5 hours a day, with the topic of comparing the properties of water and ethanol, and in each class, students wrote an inquiry report designed to experience 7 stage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Students used the research problem proposed in the previous inquiry clas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next inquiry class, and this format was maintained in the 4 inquiry classes. Through these classes, perception of the five core competencies of science curriculum increased and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se classes were helpful in improving science core competenci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at helped students recognize that their core competencies were improved were the practice of proposing and solving research problems,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olving difficulti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pe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re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practice, reflec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ourse of inquiry so that students can play the role of active learners in school scienc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송중·고 학습경험인정제 이수인정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 초등과학에서 화학(물질)개념 통합수업의 학습효과 분석
- EFL 읽기 자료로 연재만화(comic strips) 활용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빅데이터 감성분석
-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관계 연구
- 언어기반 읽기중재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만 3세 유아들의 COVID-19 관련 경험과 생각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 자유놀이에서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 지혜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독서교육 발전방안
- 교과 간 통합을 적용한 수업 실연 경험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
-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교과 역량 관련 과제 분석
- 초등학생의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에서 나타나는디지털 탐구도구 활용의 특징
-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취학 전 학업능력에 따른 취학 후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 영국 대학의 학생 학습성과 평가의 질 제고 방안에 대한 탐색
-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간호대학생의 통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교육: 역량 기반 직업교육의 가능성
-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 과목의 교육행정 영역 분석
-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탐구 수업에서 핵심역량과 수업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