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opic Trends in the News Coverage of Safety Accid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 Five-Year Review of Major Media Repor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오채선 박건령 김언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1호, 137~16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9개 언론사에서 보도된 유치원․어린이집 재원 영유아의 안전사고 관련 뉴스 기사 177건을 분석하여, 영유아 안전사고의 주요 유형과 사회적 대응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뉴스 헤드라인에서 추출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NetMiner 4.5의 머신러닝 기능을 활용하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7개의 주요 토픽은 교통사고, 집단 식중독 사고, 안전교육 및 캠페인, 법적 대응 등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를 바탕으로 네 개의 상위 주제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뉴스 보도를 통해 영유아 안전사고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사고 유형별로 어떠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교통사고 및 기관의 책임, 건강 및 위생 관련 사고, 예방교육 및 법적 대응이 주요한 사회적 논의의 축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정책적 대응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영역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 안전사고 예방 및대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데이터와 분석 방법을 활용한 후속 연구를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안전 대책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영유아 안전을 단순한 사고 예방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권리로 확립하고, 이해관계자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안전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jor types of safety accidents involving young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the headlines of 177 news articles reported by nine major domestic media outlets from 2019 to 2024. Utilizing the machine learning functionality of NetMiner 4.5, a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which identified seven key topics. These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four overarching themes: traffic accidents, mass food poisoning incidents, safety education and campaigns, and legal respon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young children's safety accidents were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practical strategies aimed at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a broader range of data sources and analytical methods to develop more comprehensive and effective safety measure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recognize safety of young children not merely as an accident prevention issue but as a fundamental social right,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collaborative framework among stakeholders to establish a sustainable culture of safe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