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 특성의 잠재집단에 따른 고등학생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 차이

이용수 216

영문명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Adaptation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Latent Groups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ir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효식 연은모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27~4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특성과 부모가 지각한 자신의 양육 특성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교육연구원 경기교육종단연구의 초등학교 패널의 8차(2019년), 9차(2020년) 자료의 4,5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잠재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다. BCH 보조변수(Auxiliary)를 사용하여 잠재집단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고등학교 2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특성과 부모가 지각한 자신의 양육 특성에 따라 ‘자녀 중-부모 중상 집단’, ‘자녀 하-부모 중 집단’, ‘자녀-부모 중상 집단’, ‘자녀 중상-부모 상 집단’, ‘자녀 최상-부모 중상 집단’, ‘자녀-부모 최상 집단’의 6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신건강의 경우 잠재집단 2(자녀 하-부모 중), 잠재집단 1(자녀 중-부모 중상)이 다른 4개 잠재집단보다 정신건강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친구, 교사)의 경우 잠재집단 6(자녀-부모 최상), 잠재집단 5(자녀 최상-부모 중상)가 다른 4개 잠재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집단 2(자녀 하-부모 중), 잠재집단 1(자녀 중-부모 중상)이 상대적으로 비행 빈도 수준이 높았으며, 성장신념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잠재집단 6(자녀-부모 최상), 잠재집단 5(자녀 최상-부모 중상)가 낮았으며, 시험스트레스의 경우 잠재집단 5(자녀 최상-부모 중상)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청소년 간 양육 특성에 대한 지각 차이가 존재하며, 부모가 청소년보다 자신의 양육 특성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할 때 청소년의 사회적, 심리적, 행동적 적응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which were perceived by 11th graders and their parents, and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adjustment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sified types in their 12th grade. Methods 4,553 longitudinal data of 8th (2019) and 9th (2020),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ere used to identify the latent group. In specific, BCH auxiliary variable were used to verify differences among identified latent groups. Results First, the study found six latent classes depend on each of children’s perception and parents’ perception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Second, both classes which were identified with low perception of children and average perception of parents and with average perception of children and above average perception of parents reported lower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growth mildest, but higher delinquency behaviors than other four latent classes. However, classes which were identified with highest perception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and with highest perception of children and above high perception of parents reported higher self-esteem,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low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four latent class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when parents perceive their parenting characteristics more positively than adolescents, it can negatively affect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daptation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효식,연은모. (2023).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 특성의 잠재집단에 따른 고등학생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6), 27-40

MLA

최효식,연은모. "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 특성의 잠재집단에 따른 고등학생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6(2023): 2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