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Longitudinal study of extracurricular educational performance outcomes for student empowerment: Focusing on learning support progra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나미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95~10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여 교육성과 평가에 지속해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생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문헌분석과 4년제 대학 비교과 홈페이지를 탐색하고, 관련 대학 평가 인증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도 소재 K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3년간 참여한 학생의 마일리지 점수, 프로그램 참여 수, GPA, 핵심역량 진단점수를 기준으로 연구 문제에 따라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연도별 차이와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GPA와 핵심역량 점수에 마일리지 점수와 프로그램 참여 수가 연도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수는 GPA와 핵심역량 점수에 영향이 없으나 마일리지 점수 즉, 프로그램 참여 시간은 68시간 이상 참여시 GPA 첨수가 향상되고 21~33시간 참여시 전문성 역량, 68시간 이상 참여시 의사소통 역량이 향상된다. 2018년도 GPA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는 2017년도 GPA 점수, 여학생, 마일리지 점수 680점 이상이다. 2018년도 핵심역량 점수는 2017년도 진단점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프로그램 참여수 13~15개 참여시 전문성 역량이 향상된다. 결론 각 대학에서 부여하는 인증점수와 프로그램 참여 수와 같이 실질적인 자료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성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for educ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by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non-subject educational performance, and to suggest ways to strengthen student capacity. Methods Literature analysis on non-subject educational achievements, 4-year non-subject webpages were searched, and related university evaluation certification data were analyzed. In addition, repeated measures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based on the mileage score, number of program participation, GPA, and core competency diagnosis scor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Gyeonggi-do for 3 years. to verify the difference and effectiveness by year.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GPA and core competency scores by year, the number of program participation has no effect on GPA and core competency scores. 21 to 33 hours of participation improves professional competency, and 68 hours or more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mproves. The order of influence on the 2018 GPA score is the 2017 GPA score, female student, and mileage score of 680 or higher. The core competency score in 2018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iagnosis score in 2017, and professional competency improves when 13 to 15 programs participate.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non-subject programs through practical data, such as the certification scores awarded by each university and the number of program participants, and prepares basic data for analyzing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lans for strengthening student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미현. (2023).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6), 95-109

MLA

나미현. "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6(2023): 95-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