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582

영문명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Higher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하은 정유진 조일현 임규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557~5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수행된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대학 맥락을 기반으로 한 PBL 수업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2년 9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문제중심학습 관련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을 수집하고 PICOS 기준을 적용하여 116편의 연구를 최종 문헌으로 선정하였으며, CMA를 활용하여 PBL의 전체 효과와 종속변인 및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16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39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내 대학 맥락에서 수행된 문제중심학습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종속변인의 유형을 인지적 변인과 정의적 변인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정의적 변인이 인지적 변인보다 큰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인을 학문계열, 교육과정, 학습환경, 융합여부, 처치기간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문계열은 인문, 사회과학, 예체능, 자연과학, 공학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육과정은 교직 교육과정, 전공 교육과정, 교양 교육과정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학습환경, 융합여부와 처치기간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과 융합 PBL 및 학습환경에 따른 PBL 수업 설계와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맥락에서 효과적인 PBL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PBL) implemented in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PBL in higher education. Methods Researchers collected manuscript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PBL conducted in Korea from 2010 to September 2022, and finally selected 116 studies following the PICOS approach.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analyze the overall effects, the effect sizes for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moderating variables using CMA softwar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392 effect sizes from the 116 research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of PBL was 0.737, indicating an intermediate effect size. The effect sizes for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were 0.582 and 0.837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affectiv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 size than cognitive variables. Moderating variables were academic domains, curriculum, learning environment, and program duration. Among the moderating effect of subgroups, the effect size of the academic domain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order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Regarding the curriculum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order of the teaching professional subjects curriculum, the major curriculum, an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design and delivery of PBL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effective PBL design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하은,정유진,조일현,임규연. (2023).국내 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6), 557-579

MLA

박하은,정유진,조일현,임규연. "국내 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6(2023): 557-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