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 연구

이용수 298

영문명
A Study on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Focused on the Lefebvre's Spatial Theor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경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호, 41~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Lefebvre의 공간론의 관점에서 현재 교육 공간인 학교 공간의 한계와 대안 교육 공간으로서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Lefebvre의 공간론을 분석 틀로 선정하여 공간적 실천, 공간 표상, 재현 공간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현재 교육 공간인 학교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교육의 통제와 학습자의 자율성이 공존하는 공간, 공간 표상 맥락에서 교육의 국가 주도와 학습자의 주체성이 공존하는 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교육의 지식 전달과 학습자의 능동성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학교 공간의 한계는 학교 공간을 생활공간의 특정한 물리적 영역으로 파악하는 것, 학교 공간을 교육 제도로 규제하는 것, 학교 공간의 구성원을 교사와 학생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 교육 공간으로서 자연 공간과 가상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학습 동기 유발의 공간, 공간 표상 맥락에서 공동체 학습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소통을 통한 학습공간으로 나타났다. 자연 공간과 가상 공간의 가능성은 학교 공간과 연계한 새로운 교육 공간의 역할, 학교 공간의 교육 제도의 규제를 극복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사와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로 나타났다. 셋째, 미래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특징은 공간적 실천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물리적 연계를 통한 흥미로운 학습공간, 공간 표상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제도적 연계를 통한 자기주도학습 공간, 재현 공간 맥락에서 교육 공간과 학습공간의 경험적 연계를 통한 창의적 체험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방향은 역사적 공간으로서 공존을 위한 관계성 회복의 공간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구축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수자를 중심으로 한 담론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적용 과정에서융합 공간과 연계한 교육 정책의 제정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현장에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의 적용 과정에서 융합 공간과 연계한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n educational space focused on the Lefebvre's spatial theory. Methods In this study, Lefebvre's spatial theory was selected as the analysis framework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patial practice, spatial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space of the Lefebvre's spatial theory.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school space as a recent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 are the space where control of education and learner's autonomy coexist in the context of spatial practice, the space where the government led of education and the initiative of the learner coexist in the context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space where the knowledge transfer of education and learner's activity coexist in the context of reproduction space. The limitations of school space were found to identify school space as a specific physical space,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system on school space, and to limit the members of school space to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ppeared as a space of motivation for learning from the spatial practice, a learning space of community from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a learning space of interaction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e possibilities of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ppeared as new educational spaces from the spatial practice,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improvement from the reproduction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of various educational members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as a future educational space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space are a curious learning space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spatial practice, a self-directed learning space through the systematic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spatial representation, and a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space through experiential connection of education space and learning spaces from the reproduction space. The direction of the convergence space appeared as a space of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for coexistence as a historical space. Conclusions First, a discourse centered on learners and instructor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virtual 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cyber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Thir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nvergence space of school space, natural space, and cyberspace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리. (2023).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 41-54

MLA

강경리. "교육 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자연 공간, 가상 공간의 융합 공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2023): 4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