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이용수 92
- 영문명
- A Study on Active Spatial Elements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최정필(Choi, Jeung Pill) 이재규(Lee, Jae Kyu)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300~31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우리의 삶 속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예술가 전문양성 교육에서 끝나지 않고, 예술 체험을 통해 감성과 인성을 성장시켜주는 전인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근원이 될 수 있는 통합예술교육은 앞으로의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공간 운영의 지향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활동적 공간 요소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국내 최초로 조성된 문화예술교육 공간인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외의 통합예술교육 사례 분석과 지역과 사회적 환경의 특성, 그리고 일상에서의 발달 단계별 예술 체험 활동을 통해 적용된 공간적 요소를 연구한 결과, 외부적 환경에 따른 공간 요소인 지역사회와의 통합, 자연 환경과의 통합, 삶과 상호작용적 통합 및 공간 내부의 통합적 예술교육 활동을 위한 공간 요소인 가변성, 개방성, 유연성의 특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와 내부적 공간 요소가 적용되는 서서울예술교육센터는 지역의 특성을 담은 커뮤니티 활동공간 조성과 자연 생태적 환경을 고려한 ‘자연 속 빈 공간’의 이미지에서 시민의 예술 창작으로 채워가는 시민 미술관 환경 조성, 그리고 가변성, 개방성, 유연성의 요소를 적용한 디자인 개선을 통한 열린 공간으로 친화적 접근성을 높여 권역적 거점 문화예술교육공간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다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rts education has huge impact on our life today. Integrated art education does not stop at simply fostering specialized artists, but is becoming a holistic education that enhances emotions and character through art experiences, while serving as the foundation for this. It aims operating cultural arts education and cultural arts education spaces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activity space elements, and it aims at using the results to search for sustainable utilization plans for the West Seoul Arts Center, which is the first cultural arts space established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case studies of foreign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upon studying the regi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art experience activities per development stage in everyday life, it was possible to check integration with the local society for spac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gra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reciprocal integration with life, as well as the features of variability, openness, and flexibility that are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West Seoul Arts Center for which such external and interior spatial elements apply will fulfill its role as a platform for regional hub cultural arts education space by improving friendly accessibility as an open space by establishing a citizen art gallery environment filled with the creative arts of citizens, while improving design that applies variability, openness, and flexibility with an image of an ‘empty space in nature’ considering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a community activity space containing the local features.
목차
1. 서론
2.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활동성
3.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
4. 서서울예술교육센터의 활동적 공간 요소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