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이용수 251
- 영문명
- Neuroaesthetic Study on Mondrian's Painting Styl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유욱(Liu, Xu) 조택연(Cho, Taig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149~1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피터 몬드리안(1872-1944)은 추상주의 회화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의 작품과 사상은 미술에서 오늘날까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몬드리안의 생애와 회화 양식의 변화를 연구해보면, 시각 대상의 실제적 재현에서 시작해 순수한 색채와 절대적인 선으로 시각 언어가 바뀌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몬드리안의 양식 변화는 신경 과학의 연구를 통해 시각적 신경 활동 층위에 따라 구분 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몬드리안의 회화가 가진 표현의 특징을 신경학적으로 분석해, 그의 예술적 변화를 학예기, 탐구기, 성형기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인지 신경 미학의 연구를 바탕으로,창작자의 신경 활동 층위에서 몬드리안의 세 단계 회화 양식의 대칭적인 구조를 탐구했다. 즉, 학예기의 몬드리안은 기존 회화의 표현 양식을 모방하는 신경의 학습 메커니즘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탐구기에는 회화 양식을 창조하는 신경 메커니즘을 사용하였으며, 성형기에는 인식 지능을 통해 회화를 구조적으로 구성하는 신경 메커니즘이 사용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경 미학 영역에서의 연구를 통해,감상자가 몬드리안의 구상화와 추상화를 감상하는 데 사용하는 서로 다른 시각 처리 메커니즘과 미의식의 호감 구조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자연 과학의 시각에서 몬드리안 회화의 양식 변화를 해석하고,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매력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신경 미학적 독해 구조를 세워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의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게 한다.
영문 초록
Peter Mondrian (1872-1944) is a representative of abstract expressionism, whose paintings and thoughts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art. Through the study of Mondrian's life and painting style changes, it can be seen that his visual language has changed from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visual objects to the use of pure colors and absolute lines,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the level of visual nerve activit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ondrian's painting, this study first divides the artistic change process into three stages: learning period, exploration period and mature period. Then, based on the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the symmetrical neural structure of Mondrian's three-stage painting style is explored in the painter's neural activities. The learning period adopts the neural learning mechanism of imitating the expression of painting, and the exploration period uses the neural mechanism of creating painting style. While, the mature period carries out the neural mechanism of forming pictures through cognitive structure.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t visual processing mechanisms and aesthetic preference structures used by viewers to appreciate Mondrian figurative paintings and abstract paintings based on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neuro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science, this study explains the style changes of Mondrian's paintings, establishing a neuroaesthetic interpretation method, so as to deeply understand the charm of his works, further understand the beauty. Therefore, it can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later art education of his works.
목차
1. Introduction
2. Three Stages of Mondrian's Painting
3. Three Neural Mechanisms Used by the Creator Mondrian in the Process of Painting
4. Audience Interprets the Neural Activities Used in Mondrian's Painting
5.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