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이용수 73
- 영문명
- Dongdaemun Design Plaza's Wayfinding System Analysis and App UI Proposal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영찬(Kim, Youngchan) 이강준(Lee, Kangjo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107~1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세계적 규모의 해체주의 건축이자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다. 해체주의 건물은 모더니즘 건물과 달리 그 구조를 하나의 중심원리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럼에도 DDP는 모더니즘에 기반한 사인시스템을 적용해 길찾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인시스템의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정비와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웨이파인딩 시스템의 개발, 즉 DDP용 웨이파인딩 앱 개발이 필요하다. 먼저 기존 안내 사인 중 꼭 필요한 안내 정보를 추려내 정비해야 한다. 다음으로 관람객이 자신의 현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목적지의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12색상환 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 이 시스템은 DDP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방위에 따라 12색을 배분한 후, 이를 안내 사인에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관람객이 자신의 현위치와 목적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해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를 이를 위해 웨이파인딩 앱의 UI를 개발해 제안했다.
영문 초록
Dongdaemun Design Plaza is a world-class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a landmark representing Seoul. Unlike modernist architecture,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cannot clearly grasp its structure according to one central principle. Nevertheless, the sign system based on modernism is applied to the DDP, making it more difficult to find your way in the deconstructivist space. To solve this problem, systematic and organic maintenance of the existing sign system and development of a wayfinding system using a new medium, that is, development of a wayfinding app for DDP is required. First, it is necessary to sort out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existing guide signs and maintain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sort out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existing guide signs and maintain them. Next, a 12-color wheel system should be applied so that visitors can intuitively grasp their current location and find the direction of their destination. This system distributes 12 colors according to the 360-degree azimuth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DDP and displays them in color on the guide sign, helping visitors to find their way by intuitively grasping their current location and destination. For this study, the UI of the wayfinding app was developed and propo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사인시스템
4. DDP 사인시스템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