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이용수 3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Content of Exhibition Spaces using VR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정현(LEE, Jung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9~1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는 팬데믹(Pandemic)의 영향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언택트(Untact) 환경이 일상이 되었다. 메타버스(Metaverse)라는 가상세계가 생겨나기도 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플랫폼 공간과 아바타(Avatar), 미디어 콘텐츠(Contents),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등 새로운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맞게 박물관과 같은 문화공간에서도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가상박물관, 스마트 박물관 등이 생겨나고 있다. 최근의 박물관은 관람객에게 단순한 전시 제공 이외에도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관람객이 전시의 주제와 의도를 공감하고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실감콘텐츠(Immersive)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실감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시각 미디어 요소들을 고찰하고, 인터랙션(Interaction)과 공간 모티브(motif), 유물을 활용한 콘텐츠 요소의 개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등을 실제 적용한 사례를 토대로 제안한다. 또한 체험의 극대화를 위해 VR기술을 적용하고 향후 국립중앙박물관의 차별화된 전시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
영문 초록
A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due to the global pandemic, the untact environment has become a daily routine. A virtual world called metaverse has also been created,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platform space, avatars, media content, VR are being used to implement it. In line with this social change, even in cultural spaces such as museums, virtual museums and smart museums that apply various technologies are emerging. Recently, museums are developing contents for special experiences that allow visitors to experience the real thing in addition to providing simple exhibition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developing Immersive content for visitor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 empathize with the theme and intention of the exhibition and to understand the history. It examines the visual media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content, and proposes based on actual application cas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ntent elements using interaction, spatial motifs, and relics, and storytelling. In addition, VR technology will be applied to maximize the experience and the direction of the differentiated exhibi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ll be discussed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VR기술을 활용한 전시체험 콘텐츠 설계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