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이용수 195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tro Futurism Fashion Images Using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장수방(Zhang, Xiu Fang) 성광숙(Sung, Kwang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13~2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복고미래주의 패션'과 관련된 최근 3년간의 소셜미디어 게시글 13,266건을 수집하여 9,661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어휘 중에서 상위 노출 빈도를 나타내는 66개의 어휘를 핵심적인 주요 어휘로 선정하여 디자인 요소별로 이원모드 분석하여 연결 중심성이 높은 이미지 어휘를 찾아내어, 최종적으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를 나타내는 26개의 이미지 어휘를 선정하였다. 끝으로, 도출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어휘를 군집화하여 가상성(감각적인, 현대적인, 유니크한, 럭셔리한, 매력적인, 공상적인, 개념적인, 우주적인, 가상적인, 와일드한), 공존성(복고적인, 공존적인, 미래적인, 시대적인, 시간적인, 상징적인, 강조적인, 크리에이티브한), 예술성(예술적인, 빛나는, 공간적인, 자극적인), 개성성(밀레니얼적인, 개성적인, 컬러풀한, 생동감 있는)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 방법은 감성 이미지라는 정성적 인지가 정량적 평가를 통해 구현되는 연구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사용자의 중심의 패션 이미지 분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9,661 words were extracted by collecting 13,266 social media posts related to 'retro futurism fashion' over the past 3 years. Among the extracted vocabulary, 66 vocabulary representing the highest exposure frequency were selected as core major vocabulary, and image vocabulary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as found through binary mode analysis by design element, and finally 26 image vocabulary representing retro futurism fashion image was selected. Finally, by clustering the derived retro futurism fashion image vocabulary, virtuality(sensuous, modern, unique, luxurious, attractive, fanciful, conceptual, cosmic, virtual, wild), coexistence(retro, co-existent, futuristic, timely, temporal, symbolic, emphasizing, creatively), artistry(artistic, shiny, spatial, stimulating), individuality(millennial, individual, colorful, lively). This research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ser-centered fashion image analysis research in the future by presenting a research methodology in which qualitative recognition of emotional images is implemented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