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이용수 130
- 영문명
- Research on innovation of new design frame through sustainable design class cas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영심(Park, Young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77~28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루가 다르게 경제적 발전을 하는 지금, 인류의 가치관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는 UN이 정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고 교육도 한창이다. 하지만 지속가능발전목표는 무엇이며 우리가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아직 세부 전공을 정하지 않은 부산의 D 대학의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활용하여 학습 진행 상황을 관찰하였다. 또한 도스트(Doest, 2011)가 “특정 가치(Value)”를 위하여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한 아이템과 작동원리를 함께 묶어서 프레임을 설정하고 최선의 방법으로 문제해결책을 제안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결과, 문제 해결 방법으로서의 새로운 디자인프레임 제안은 ‘환경’과 ‘가상의 스토리(personas)’ 경험,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프로세스와 새로운 디자인프레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 시 디자인 주도적인 혁신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Now that the economy is developing day by day, human values are also continuously growing. All over the worl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achieve the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et by the UN, and education is in full swing. However, education on w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and what efforts should be mad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study progress was observed using the sustainable design process model re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for first-year students of D University in Busan, who have not yet decided on a specific major.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y that Doest (2011) sets a frame by tying together items and operating principles that have been assumed to have potential for “a specific value”, and proposes a solution to the problem in the best way, the researcher reconstructs It aims to propose a new design frame. As a result of this paper, the proposal of a new design frame as a problem-solving method utilizes 'environment' and 'virtual story (personas)' experiences, SDGs, sustainable design process and new design frame to achieve design-led innovation when solving problems. We want to help you.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 사례
4.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