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Study on the Values of Regional Cultural Aesthetics Consciousness in Rural Architectura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기(Li, Qi) 조택연(Cho,Taig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93~10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 농촌 건축 재생 활동에 관한 연구에서 지역 문화의 부족이 지적되고 있다. 지역 문화는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건축 재생 활동에 사용되는 지역 문화 연구 대부분이 인문학과 사회학적 시각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신경 미학 관점에서 지역문화의 가치를 연구하였다. 첫째, 미의식의 지각패턴에서 출발하여 미의식으로 기억되는 과정의 중요성에 집중하였다. 둘째, 자서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기억에 관한 연구는 긍정적 추억이 긍정적인 정서를 가질 수 있게 함을 보여준다. 이런 긍정적인 정서를 얻는 신경 과정에 자서전적 기억의 활성화가 효과적이다. FRMI를 사용한 연구에서 긍정적 자서전적 기억이 선조체(Striatum)에서 유의미한 활성화를 일어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선조체는 활성화는 뇌 보상 메커니즘(mechanism)를 대표한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자서전적 기억은 미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자서전적 기억과 지역 문화의 영향에 대해 논의 한다. 자서전적 기억의 형성이 지역적 문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즉 지역문화를 가진 건축에서 촉발된 지각의 결과는 자서전적 기억으로 활성화되는 두뇌 보상 메커니즘(mechanism)의 영향을 받는다. 이를 지역적 문화를 가진 건축적 미의식의 원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에 의해 발생한 자서전적 기억을 기초로 건축 미의식을 신경 미학의 분석으로 설명한다. 이 연구가 건축 디자인에 있어 지역문화의 가치를 제공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Regional culture default has become a problem to be resolved in the study regarding the status quo of rural renewal architecture in China. It is widely known that regional culture plays a crucial part in terms of people’s wellbeing. For the moment, most of the studies on regional culture were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ities and sociology. Being fully aware of this problem, the values of regional culture were studied from a neuroaesthetic point of view. Firstly, the significance of memories in aesthetic perception model was confirmed in this study starting with the aesthetic perception model itself. Secondly, the related studies regarding autobiographical memory were analyzed. Positive emotions come from positive memories. Therefore, activating autobiographical memory is a resultful approach to obtain positive emotions compared with other approaches. As shown in the studies applying FRMI technology that positive autobiographical memory can activate the striatum in a prominent manner. Such activation of striatum means the activation of the brain reward mechanism. Therefore, the positive autobiographical memor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arous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t last, related elaborations were made o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regional culture in this study. On account of the formation of autobiographical memory is greatly affected by reg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perceptual results triggered by the architecture with regional culture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brain reward mechanism activated by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his was considered the source of aesthetic perception for the architecture with regional culture in this study. The aesthetic perception generated by the architecture with regional culture was expounded in this paper by means of the neuroaesthetic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autobiographical memory. Hoping to provide supportive evidence for the values of regional culture in architectural design.
목차
1. Introduction
2. Status quo of rural architecture
3. The aesthetic perception mechanism of brain
4. The favorable interpretation of regional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5.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