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on Psychology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선위윤(Shan, Wei Lun) 김민우(Kim, Min Woo) 강재철(Kang, Jae Cheol)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01~2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내 공간에서의 조명 환경과 정서 사이의 고령자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결과를 정량 분석한다. 이 연구 중에서 주로 고령자의 침실과 주방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조명 환경은 관련 색온도와 조도로 구성된다. 문헌 연구에 따라’저조도+전구색’, ’저조도+주백색’, ’저조도+주광색’,’고조도+전구색’, ’고조도+주백색’과 ’고조도+주광색’ 여섯 조명의 환경 조합을 설치한다. 침실과 주방공간에 각각 조명환경을 조합하여 12개의 조명환경을 평가변수로 형성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평가 어휘는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중 회귀 방정식을 진행한다. 모든 평가 어휘와 평가 항목 간의 상관계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조도+주광색’은 주방과 침실 공간의 감성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중에서 ‘밝다''기능적이다', ‘집중하기 쉽다', ‘높다', ‘정리되다','고급스럽다' 등 어휘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특히 ‘집중하기 쉽다'는 영향이 제일 큰 것을 알 수 있다. 침실공간 중에서 ‘저조도+전구색’은 ‘여유롭다', ’쾌적하다', ‘편안하다', ‘만족스럽다', ‘느긋하다', '따뜻하다'등 어휘에게 영향을 많이 미쳤다. 공간 활용 기능에 따라 감성 평가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저조도+주백색’과‘고조도+주백색’ 조합은 공간의 감성 평가에 영향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령자의 정서변화와 조명환경의 관련성 정량적 분석을 통해 고령자 주거 공간 디자인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평가실험
4. 색온도와 조도 감성평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