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symbol mark of local government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희아(Kim, Hi A) 엄기준(Um, Gi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88~29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체성은 존재의 본질이나 이를 규명하는 성질로써 변하지 않는 타의적 인정이 동반되는 자의적 자기인식이다. 정체성 표현을 위한 지자체의 ‘심벌마크’ 디자인은 변하지 않는 독창적인 특징을 잘 표현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자체의 경우, 막대한 비용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심벌마크’가 그 지역의 특징과 정체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지, 또는 지역 주민에게 상징물의 의미가 잘 전달되고 있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지차체의 ‘심벌마크’ 정체성 표현방법에 대해 알아본 결과 우리나라의 지자체들은 정체성 표현을 자연적 환경에서 찾는 경우가 가장 많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지자체 명칭(문자)이었다. 상대적으로 역사ㆍ문화적 특징을 심벌마크에 표현하는 경우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현재의 모습을,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그 지역의 현재의 모습을, 한 사람의 과거의 삶이 그 사람의 현재의 모습을 만들어 가는 것처럼, 지자체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역사ㆍ문화적 특징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제안해 본다.
지자체마다 역사와 문화의 찬란함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해당 지역만의 역사가 부재한 곳은 없다. 미래적인 것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선출로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지자체가 게시하고 있는 ‘심벌마크’에는 과거를 반영한 정체성을, ‘브랜드 슬로건’ 등에는 미래를 반영한 지자체 정체성을 표현하는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해 본다.
영문 초록
Identity does not change as the essence of existence or the quality that identifies it. It is an arbitrary self-awareness accompanied by other recognitoni. The design of the ‘symbol mark’ of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expression of identity should express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o not change well. However,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despite the enormous cost and effort, there are constant debates as to whether the 'symbol mark' well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the region or whether the meaning of the symbol is well conveyed to the local resi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dentity expression method of the 'symbol mark' of local governm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und the expression of identity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most, followed by the name of the local government. Relatively, there were not many that expres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symbol mark.
A method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a local government, just as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country shape the present shape,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shape the current shape of the region, and a person's past life creates the person's present sha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more desirabl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plendor of history and culture for each local government, but there is no place where the history of the region is absent. The future can be changed at any time by the election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we propose a design methodology that expresses the identity of the local government that reflects the past in the 'symbol mark' pos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identity of the local government that reflects the future in the 'brand sloga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지자체 심벌마크 디자인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