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A case study of gameplay elements in Memphis style on advertising layout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왕일범 (Wang, Yifan) 양재범 (Yang, Jae Bu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132~148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0년대 이탈리아에서 멤피스라는 이름의 디자인 그룹이 만들어졌다. 멤피스 디자인은 기능주의에 반대하며 모더니즘 미학의 취지와 가치관을 버리고, 장식예술인 팝아트 등을 접목해,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다. 분석 결과 멤피스 스타일에서 유희적 요소의 디자인 이념은 시각 조형의 구체적인 결합 표현 형식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광고 속 레이아웃 디자인을 검토 연구를 진행한 결과, 멤피스 스타일 디자인 이념의 인문적이고 개방적인 반성적 디자인 사고를 도출해냈다. 사회적 소비 발전이 대중의 감정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배경에 있어, 멤피스 스타일의 유희적 이념을 광고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더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면, 더 많은 디자인 수법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예술을 생활에 접목할 수 있고 광고 디자인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1980s, Italy established a design group called Memphis. Under the call of opposing functionalism, the design abandoned the tenets and values of Modernist Aesthetics,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styles, including decorative art and pop art, and finally became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postmodern design. Conclusion Combined with the manifestation of its visual modeling, advertising typesetting design was discussed to draw the conclusion that its design has humanistic, open and reflective design thinking. In line with the current consumption development, it also meets the emotional needs of the public, promotes the better application of Memphis style gameplay element concept in advertising typesetting design, new Ide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Open up design possibilities and new ideas.
목차
1. 서론
2. 멤피스 디자인 유희적 요소와 광고레이아웃의 이론적 배경
3.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가 광고 레이아웃에서의 유형별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