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bic Unit Modelling: Mainly on the basis of producing & demonstrating FDP pilot product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하봉수(Ha, Bong Soo)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67~27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플렉서블 디자인 패턴(Flexible Design Pattern)’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시연을 통해 제품화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무엇보다 제품화를 위해 범용적 건축소재인 세라믹과 콘크리트 등의 시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시연을 통해 제품으로써 장단점을 파악했다. 먼저, 시제품 개발과정은 FDP 유닛 유형선정과 이를 이용한 모델링과 3D프린팅 등의 과정을 거쳐 몰드를 제작했으며, 1차적으로 시도한 도자기용 점토 소재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PLA소재의 출력물)의 경우, 몰드에서 소재의 탈형이 곤란해 실패했고, 이를 개선해 실리콘 몰드로 변경 제작했다. 이후 성형과정은 총 5가지 몰드를 이용한 4회 성형을 통해 콘크리크 FDP 제작상의 문제점 및 노하우를 체득했고, 이후 (1-2), (2-3) 몰드를 이용해 시연을 위한 시제품 18세트를 완성했다. 최종적으로 디자인관련 전공교수 3명의 협조를 얻은 시연을 통해 제품의 장단점을 청취한 결과, 시제품은 규칙 및 불규칙적 유닛의 조작과정에서 감각적 투영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완성된 작품에서 만족감을 얻게 된다. 또한 컬러 등 배색을 추가하게 되면 개인적 감각투영 역시 더욱 촉진되면서 제품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결국 이러한 의견은 FDP가 갖추고 있는 제품속성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어, 장식적 입체타일 및 아트키트 제품으로서 경쟁력을 가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한편, FDP는 입체 형상이나 구성방법 외에도 기술적인 과제가 다수 있고, 청소나 유지관리 등 사용상의 문제가 남아있다는 의견이다. 본고에서는 기술적인 부분은 논외로 하고 있지만, 향후 시판용 또는 시공용 제품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형상디자인의 세분화를 비롯해 기술적 부분에 대한 검토가 추가될 필요가 있고, 이 부분은 협력적 후속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development of Flexible Design Pattern pilot product &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through demonstration. Above all, it concentrated on developing pilot product of ceramic, architectural materials for universal use & concrete for commercialization and grasped merit & demerit with product through demonstration. Above all, the process of developing pilot product is producing mold through selecting FDP unit type and modelling & 3D printing. In case of mold(output of PLA materials) which was to form clay for pottery that was attempted in the 1st place, it failed, because materials could not be detached from mold. Then, mold was changed and improved to silicon mold. In the subsequent forming process, the problem & know how for producing concrete FDP was acquired through 4 formings which used molds in 5 kinds. Afterwards, 18 sets of pilot products were completed by using mold in type (1-2), (2-3). Finally, listening to the merit & demerit of product through demonstration for which 3 professors related to design cooperated, pilot products were inevitably subject to sensory projection in the process of operating regular & irregular units. As a result, the complete works were satisfactory. More opinion was that once color is added, individual sensory projection would be further promoted, thereby making the products more satisfactory. After all, this opinion could be the representation of products attribute borne by FDP,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is possible, namely, they may be competitive as decorative cubic tile & art kit products. Meanwhile, further opinion is that FDP has many technical tasks besides cubic shape or composition method and problems in use like cleaning or maintenance. Although technical part is excluded in this paper, technical part needs to be additionally examined including segmentation of shape design in order to complete products for sale or construction. This is to be studied in cooperation later.
목차
1. 서론
2. 플렉서블 디자인 패턴(FDP)의 특징
3. 시제품 제작
4. 시제품 시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