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이용수 88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Convenience of Kiosk Using Affordance Design Concept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종희(Lee, Jo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40~25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것의 디지털 자동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는 노화에 따른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변화로 인하여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 전반에 보편화된 디지털 무인 단말기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기기의 사용 방법과 작동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자연스럽게 행위를 유도하고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행위적 관점을 중시하는 어포던스 디자인의 4가지 기본 개념인 행위지원성, 제약, 대응, 피드백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여 고령자의 디지털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주민센터, 지하철, 상업공간 무인 단말기를 실제 사용해 보았다. 참가자들은 주민센터와 지하철 기기는 비교적 손쉽게 사용하였지만 상업공간 무인 단말기는 사용상의 어려움을 겪었다. 참가자들이 인지적으로 기기의 사용법을 짐작하거나 알 수 있을 때 자기 효능감은 물론이거니와 기기 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과정을 통한 고령 참가자들의 사용 후 평가와 사용 시 느꼈던 심리적 요인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특성을 배려한 무인 단말기 디자인 개선안이 모색되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moving toward the pursuit of digital automation of everything throughout society. However, the elderly have various difficulties in using digital devices due to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nges caused by aging. Digital kiosks, which are common to society as a whole, should be designed so that users can naturally induce behavior and achieve their purpose even if they do not understand how to use and operate the device to achieve their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convenience of using digital kiosks for the elderly using affordance, constraint, mapping, and feedback, which are four basic concepts of affordance design that value the user's behavioral perspectiv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ctually used digital kiosks in community centers, subways, and commercial spaces for elderly experimental participants. Participants used community centers and subway devices relatively easily, but digital kiosks in commercial spaces had difficulty in using them. When participants were cognitively able to guess or know how to use the device, it was found that not only self-efficacy but also confidence in using the device was formed. Through this experimental process, the psychological factors felt during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and use of elderl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a plan to improve the design of digital kiosks considering the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ll be sough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실험 관찰
4. 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