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9
- 영문명
- A Study on Effects of Architectural Surface Characteristics on Sharp Shape Threat Percep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양지제(Liang, Zhi Qi) 조택연(Cho, Taig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46~6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날카로움을 어떻게 건축 조형으로 활용할지에 대해 디자이너마다 다른 의견이 제시된다. 날카로운 조형의 급격한 변화는 빠르게 윤곽 특징을 추출할 수 있게 하는 시각 언어 중 하나이다. 건축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표피는 날카로운 윤곽의 위협성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 조형 양식이 다원화되면서, 미의식은 조형 객체에 대한 시각적 인지와 전문적 지식 그리고 조형을 경험한 문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진화과정에서 획득한 두뇌의 보편 미의식은 이러한 요소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알려진 것 역시 사실이다. 본 연구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위협에 대한 두뇌의 지각 메커니즘 및 주의 선택 메커니즘을 신경학적으로 해석하여, 미인식의 단계를 해석하는 접점으로 삼았다. '투명', '반사' 등 생존 본능에 부합하는 특성에 대한 뇌의 선호도를 진화 미학적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재질의 투명성뿐 아니라, 조형적 투과성으로 심미적 선호도를 이끌어낼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적으로 날카로운 조형에서 위협을 감지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법을 찾고, 표피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에 미치는 인지 및 심미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날카로운 조형이 가진 표면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와 조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Designers express diverse opinions on how to apply sharp shapes in buildings. Sharply-changed contour of sharp shapes is one visual primitive that can be quickly extracted by people1). As a critical part of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surface boasts of som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brain to recognize threat of sharp contours. In this day with diversified aesthetics, aesthetics rests with audience’s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on of objective objects,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life experience, thoughts and culture. In the course of evolution, general aesthetic awareness acquired by the brain is minimally impacted by subjective factors. Under the background, this study, on neuroscience view, adop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xplain brain’s perception mechanism to threats and selective attention mechanism by apply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Starting with analyzing five stages of aesthetic cognition, it exposes brain’s preference for characteristics in line with survival instinct, such as “transparency” and “reflection”, in accordance with viewpoint of evolutionary aesthetics. Aesthetic preference can be triggered by both materials, and permeability of architectural shape structures. In summary, this study aims to reveal reasons of threat perception and attraction of sharp shapes, so as to determine influence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cognition and aesthetic effects of sharp shapes. It is hoped to provide scientific references and proposals for applying surface characteristics in buildings with sharp shapes.
목차
1. Introduction
2. Threat and Attention on Sharp Shapes
3. Aesthetic Preferences Brought by Visual Stimuli
4. Influence of Surface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 of Sharp Shape Threats
5.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