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A Study on UX design for non-face-to-face robotic treatment in otolaryngolog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최진국(Choi, Jin Guk) 송지성(Song, Ji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253~2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속적인 COVID-19 감염환경에서 마스크를 벗는 대면 진료환경은 의료진과 환자는 호흡기 질환 감염환경에 노출되어 UX 관점에서 접근하여 대면 진료환경을 분석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호흡기 질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에 따른 콘셉트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진행은 첫째, 문헌과 사례를 조사하고 환자체험 및 관찰, 인터뷰, 진료환경을 이비인후과 병원 방문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둘째, 대면 진료 환경분석을 통해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고 비대면 로봇 진료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셋째, 비대면 로봇 진료 시나리오에 따른 이비인후과 로봇진료실 Concept design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디자인 방향개발 3가지 키워드를 진료의 공간성, 관측성, 사용성으로 도출하였다. 3가지 키워드에 따라 이비인후과 로봇 진료를 위한 진료방법 프로세스, 로봇진료실 Layout, Unit chair, 로봇 진료 UI를 디자인하였다. 진료 로봇을 더욱 정밀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Master device 및 Main과 Sub의 Robot system의 도출된 문제점은 후속 연구로 진행할 것이다. 환자는 치료를 위해 병원에서 의사를 대면하기를 원한다.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대면 진료에서 단계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환자와 의사는 분리된 공간에서 유리창을 통해 문진이 진행되고 로봇 진료경험이 보편화 되었을 때 온라인 문진으로 전환되면 비대면 로봇 진료와 원격진료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UX 관점에서 접근하여 콘셉트디자인을 제시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안을 찾으면서 다시 문제점이 발견되는 연구 결과에서 콘셉트디자인 개발의 기능적 측면에 의의를 두며 로봇 진료개발에 필요한 UX 연구에 활용되는 측면과 비대면 진료 의료서비스가 발전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a face-to-face medical environment where masks are taken off in a continuous COVID-19 infection environment, medical staff and patients are exposed to respiratory disease infection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 design according to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in otolaryngology for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for patients and medical staff by analyzing the face-to-face treatment environment by approaching from a UX perspective. First, the literature and cases were investigated, and patient experience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treatment environments were conducted through visits to the otolaryngology hospital. Second, a design concept was derived through face-to-face treatment environment analysis and a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scenario was presented. Third, we proposed a concept design for an otolaryngology robot treatment room according to a non-face-to-face robot treatment scenario.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ree key words for design direction development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s spatiality, observability, and usability of treatment. According to three keywords, the treatment method process, treatment room layout, unit chair, and robot treatment UI for otolaryngology robot treatment were designed.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Master device and the Robot system of Main and Sub to operate the treatment robot more precisely will proceed to follow-up research. The patient wants to see the doctor in the hospital for treatment. In order for non-face-to-face robotic treatment to be implemented in otolaryngology, a gradual shift from face-to-face treatment is required. When the patient and doctor are interviewed through a glass window in a separate space, and when the robot medical experience becomes common, it is converted to an online questionnair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non-face-to-face robotic treatment and remote treatment. This study approaches from the UX point of view, suggests concept design, and finds solutions to problems, and places significance on the functional aspect of concept design development from the research results, where problems are found again. It is expected that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will be develop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이비인후과 환경분석
4.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디자인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