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이용수 113
- 영문명
- Exploring the Improvement of Cigarette Package Design Considering Point of Purchas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최지희(Choi, Ji Hee) 양재범(Yang, Jae Bu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7, No. 3(통권 24권), 61~7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금연 정책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담뱃갑 경고 그림의 직관적인 디자인이 대중에게 제공하는 심리적 자극 및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디자인의 보완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현행 패키지 경고그림의 한계점을 파악한 결과, 경고 그림이 소비자의 방어기제를 작동시키므로 금연 촉구 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며, 일각에서는 오히려 부정적 반응을 유발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심리적 저항과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흡연의 유해성을 전달하는 방법과 동시에, 구매시점에서 담배 브랜드에 대한 홍보와 금연의 필요성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한 패키지의 디자인적 제안을 제공한다. 현재 담배 패키지의 경고그림과 구매시점 광고(POP)가 서로 상충되는 효과를 유도하고 있기에, 이를 보다 상호보완적인 방향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stimuli and effects of the intuitive design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used as part of the anti-smoking policy and to present complementary points and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design.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ackage warning picture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s the warning picture activates the consumer's defense mechanism, causing negative reactions in some cases.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design proposal for a package through a way to convey the harmfulness of smoking while minimizing consumers' psychological resistance and rejection, while also naturally accepting the need to promote tobacco brands and quit smoking in point of purchase. Currently, the warning picture and point of purchase (POP) of cigarette packages induce conflicting effects, so I would like to propose this in a more complementary direc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소비자 심리와 담뱃갑 경고그림의 사례 및 분석
4. 담배 패키지디자인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R기술을 활용한 전시공간의 실감콘텐츠 개발 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차량개발 R&D 담당자들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사후평가
- 멤피스 디자인에서 유희적 요소의 광고레이아웃 유형별 사례연구
- 몬드리안의 회화 양식에 대한 신경미학적 연구
- 색약자를 고려한 홈쇼핑 웹 네비게이션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배색에 관한 연구
- 이비인후과 비대면 로봇 진료를 위한 UX 디자인 연구
- 입체 유닛조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자체 심벌마크의 정체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거주 후 평가를 통한 실버타운 실외환경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 건강기능식품 종합비타민 패키지 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3D 그래픽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환자와 의료진의 소통을 위한 UX/UI 개선에 관한 연구
- 농촌 건축 디자인에서 지역문화의 미의식 가치 연구
- 색온도와 조도가 고령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 구매시점을 고려한 금연경고 담배 패키지디자인 개선방안 탐색
- 건축의 표면의 특성이 날카로운 조형의 위협성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어포던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무인 단말기 사용 편의성 평가
- 금속 공예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우울감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웨이파인딩 시스템 분석과 앱 UI 개발
- 뮤지엄 사인시스템 프레임워크 연구
-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심미화에 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사례를 통한 새로운 디자인 프레임 혁신 연구
- 양산형 BIPV 복합 유닛 패널 및 모니터링 서비스 디자인개발
-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장애인 권리의 기호를 담은 조형작품 제작과정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