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10

영문명
The Effect of Teachers’ Emotional Labor on Burnout: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현일(Jang, Hyun-Il) 김도연(Kim, Do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23호, 651~67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교사의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 부조화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 396명(초등교사 150명, 중등교사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21.0과 AMOS 21.0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초·중등교사의 감정노동 표면행위, 감정노동 내면행위, 감정 부조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기본심리적 욕구 만족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초·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 부조화, 기본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분하여 검증한 결과, 감정노동 표면행위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 부조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감정노동 내면행위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 부조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초·중등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가 부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정적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사의 의사결정 수용도를 높이는 등 자율성과 유능감,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urnout.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396 school teachers (1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246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at various public schools in South Korea (255 females, 139 males). The mod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deep acting, emotional dissonanc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urnout was verified. The result were the following: χ2(df=160, N=396)=496.268, TLI=.914, CFI=.927, RMSEA=.073.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cond, emotional disson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whil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emotional labor deep ac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dissonance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Fourth, the result from the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dissonance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who have high emotional dissonance may experience more burnout and those who have high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may experience less burnou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현일(Jang, Hyun-Il),김도연(Kim, Doh-yun). (2020).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23), 651-675

MLA

장현일(Jang, Hyun-Il),김도연(Kim, Doh-yun).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3(2020): 651-6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