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이용수 657

영문명
Systematic Review on the definition ‘Health Litera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지숙(Kang ji-sook) 김은미(Kim eun-mi) 김미연(Kim mi-yo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757~7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ealth Literacy와 관련하여 WHO(2013)가 제시한 이론적 개념틀을 기반으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을 통해 국내 문헌에 표현된 Health Literacy가 담고 있는 의미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개념 정의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문헌은 학술정보서비스(RISS),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ISTI/NDSL), KoreaMed, DBpia와 구글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es)를 적용하여 총 1,349편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주제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794편을 배제하고, 영문과 중문으로 표기된 81편, 중복 문헌과 원문을 확인할 수 없는 회색 문헌 259편을 배제하여 최종 186개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확정하였다. 186편 중 Health Literacy에 대한 국문표기는 건강정보이해능력 92편(49.4%), 건강문해력 38편(20.4%), 헬스리터러시 28편(15.0%) 순으로 나타났고, WHO(2013) 개념틀의 하부영역은 건강정보 이해능력 181편(100%)이었고, 건강정보 활용능력은 92편(50.8%), 건강정보 판단능력은 17편(9.4%), 건강정보 접근능력 8편(4.4%)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에서 WHO(2013)의 개념틀에 기반한 용어 정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Health Literacy에 대한 공식적인 국문표기와 개념정의를 시급하게 진행하고, 다양한 건강수준과 역량을 포괄할 수 있도록 다학제적 접근방식이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Health Literacy expressed i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systematic review(SR) based on WHO (2013) Theoretical Framework in relation to Health Literacy. This was done to provide a basis for Korean Official Definition on ‘Health Literacy’. The literatures were searched using RISS,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KISTI / NDSL), KoreaMed, DBpia and Google. A total of 1,349 documents were retrieved by applying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es). The final 186 documents were selected for analyzing. Among the 186 papers, the Korean notation for Health Literacy was 92 health information comprehension skills (49.4%), 38 health literacy(20.4%).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WHO 12(1-12) subdimensions, Understanding information relevant to health(2,6,10 subdimensions) was 181(100%), Apply or use information relevant to health(4,8,12 subdimensions) was 92(50.8%), Access or obtain information relevant to health(1,5,9 subdimensions) was 17(9.4%), Appraise, judge or evaluate information relevant to health(3,7,11 subdimensions) was 8 (4.4%). The official Korean notation and conceptual definition of Health Literacy is urgently needed, and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is essential to cover various health levels and capac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숙(Kang ji-sook),김은미(Kim eun-mi),김미연(Kim mi-youn). (2020).‘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6), 757-777

MLA

강지숙(Kang ji-sook),김은미(Kim eun-mi),김미연(Kim mi-youn). "‘Health Literacy’ 개념정의에 대한 체계적 고찰(SR, Systematic Review)."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2020): 757-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