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이용수 1160

영문명
Comparison of brain activity characteristics of readers in print and smartphone text reading situations: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f-NI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희정(Baek Hee-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6호, 283~3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기 상황에서 뇌 활성도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6명이며, 2019년 10월 17일 하루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장소는 세종시 D초등학교 다목적실이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을 활용하여 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뇌 활성도 측정은 OBELAB사의 NIRSIT(2019,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측정한 데이터는 연동 분석소프트웨어인 NIRSIT analysis too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을 때 좌우반구 뇌가 균형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브로카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둘째,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를 읽을 때 동기적 추동과 관련한 뇌 영역이 모두 활성화되었다. 셋째, 인쇄 텍스트 읽기에서 목표 지향적이고 사회적 인지에 기반한 의사 결정이,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에서는 정보의 탐색과 통합이 인지 처리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정서적 조절을 통한 합리적 이해를 추구하는 경향이 인쇄 텍스트 읽기에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에 비추어 국어 수업에서 교사가 갖는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변화할 수 있으며, 문식 매체를 선택함에 있어 개별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매체 사용 경험을 고려해야 할 당위성을 재고할 수 있고, 문식 매체 선택 기준에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변화 중인 문식 환경을 고려한 교육 내용이나 방법,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어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compare brain activity characteristics in situations wh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 print text and smartphone tex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a one-day experiment on October 17, 2019. The experiment site is a multi-purpose room for D Elementary School in Sejong City and the brain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Near Ultraviolet Spectrum Method (f-NIRS). The brain activity measurement was conducted using OBELAB s NIRSIT (2019, Korea), and the measur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NIRSIT analysis tool, which is the interlocking analysis softw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when reading print and smartphone text, the left and right hemispheric brain was activated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Broca area was activated. Second, when reading print and smartphone text, brain regions related to synchronous thrust were all activated. Third, goal-oriented, social-awareness-based decision making in print text reading, and the search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in smartphone text reading was used in cognitive processing. And the tendency to seek r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emotional adjustment emerged from print text reading.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 s use of digital media in Korean language classes could change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ason for considering individual learners motivation, interest and media use experience in selecting written media, and could give relevance to literary media selection criteria.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in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methods and environment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nging literary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희정(Baek Hee-jeong). (2020).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6), 283-308

MLA

백희정(Baek Hee-jeong). "인쇄 텍스트와 스마트폰 텍스트 읽기 상황에서 독자의 뇌 활성도 특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2020): 283-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