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無衣子 禪詩의 美意識 考察

이용수 35

영문명
Aesthetic Consciousness of Muuhija’s Buddhist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장영희(Jang Young Hee)(張英熙)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6호, 1099~111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선시의 미학적 특성을 고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시의 미학적 특성 을 하나로 수렴한다고 하면, ‘無’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불가의 ‘無’는 단순히 ‘없다’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 無는 불교 가르침의 정수이며, 무한한 확장을 통해 삼라만상을 아우르면서도 空의 세계이다.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禪詩의 개창자 無衣子 慧諶의 한시를 통해 이에 대해 살펴본다. 그의 시에는 無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滑稽’·‘充溢’·‘一切’라는 세 층위로 개념화하여 살펴보았다. ‘滑稽’는 모순과 역설과 미학을 담았다. 無의 실천을 통해 道를 기르고, 道를 거두어서, 道로써 생활하는 수행의 과정을 역설적 비유로 드러내었다. 無는 진리적 절대성을 골계로써 표현한 것이다. ‘充溢’은 ‘無’의 사유 속에 넘쳐나는 자유로운 경계를 말한다. 無는 아무 것도 없는 것이지만, 오히려 팽배하여 넘쳐서 자유롭고, 무한한 감정을 유동케 한다. ‘一切’는 절대적 경계로서의 無를 가리킨다. 無는 實과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萬法이요, 세상살이에서 통달의 의미도 지닌다. 道家의 미학을 ‘遊’의 미학이라고 개념 규정한다면, 이에 대비되는 불가의 미학을 ‘無’의 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esthetics of Muuhija’s buddhist poetry. In terms of convergence, the Muuhija’s buddhist poetry aesthetics can be regarded as the embodiment of “Nothingness”. The term nothingness does not imply “nothing” but is the essence of Buddhism, implying an empty world, and encompassing all things in nature through infinite expansion. To examine this, the present paper focuses on Muuhija’s buddhist poetry, which contains various meanings for nothingness. In this paper, I conceptualize this into three layers of “jest”, “exuberance” and “allness”. ‘Jest’ refers to contradiction and paradox, which leads nothingness to absolute truth. ‘Exuberance’ pertains to a free world overflowing with thoughts of ‘nothingness’ wherein it is seen as prevalent, allowing free, boundless emotions to flow. Finally, ‘allness’ refers to ‘nothingness’ as an absolute phas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concept of noumenon, all things in nature, and mastery in the world. Just as Daoist aesthetics are the aesthetics of wandering, Muuhija’s buddhist aesthetics are the aesthetics of nothingness.

목차

1. 緖論
2. 美意識으로서의 無
3.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영희(Jang Young Hee)(張英熙). (2019).無衣子 禪詩의 美意識 考察. 문화와융합, 41 (6), 1099-1116

MLA

장영희(Jang Young Hee)(張英熙). "無衣子 禪詩의 美意識 考察." 문화와융합, 41.6(2019): 1099-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