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가(儒家) 역사관으로 본 부마민주항쟁과 제주4·3

이용수 119

영문명
The Bu-Ma Democratic Protests and the April 3 Jeju Uprising as Seen from the Confucian Historical View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치완(Kim Chi-Wa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6호, 1025~106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9년 한 해 동안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을 기념하는 크고 작은 행사들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근대국가”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에 수반된 국가폭력과 항쟁을 제주4·3과 부마민주항쟁으로 되짚어보았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동양철학, 그 가운데서도 유가(儒家)의 역사관을 개념틀로 활용했다. 유가적 역사관에서는 이상과 현실이 보충대리하면서 인간다움을 실현해나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연속되는 일직선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 사건의 층위(Layer)가 포개진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는 반란과 소탕이 있었고, 1979년 10월 16일 부산과 마산에는 소요와 계엄, 위수령이 있었다. 이 관제 공식기억은 동아시아제국주의와 맞서면서 만들어온 우리의 “근대국가”가 가진 민족국가와 국민국가라는 두 가지 정체성이 냉전시대와 만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을 비집고 나온 목소리인 기억 투쟁 덕분에 오늘날 우리는 “근대국가” 대한민국의 건국 이전에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었다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정당성은 발생시기와 규모, 항쟁의 대상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제주 4·3과 부마민주항쟁이 국민으로부터 정당하게 주어진 권력이 아닌 부당한 국가폭력 또는 그것을 예비하는 권력에 맞서 싸웠다는 공통된 기억을 가지게 하는 근거이다.

영문 초록

There Events both large and small were held in 2019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the March First Movement. This study reviewed the national violence and the resistance that accompanied the foundation process of the “Modern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April 3 Jeju Uprising and the Bu-Ma Democratic Protests toward the end of the year. In contrast to earlier studies, this study utilized the historical view of Confucian scholars in oriental philosophy as a frame of reference, because the historical view of Confucian scholars recognizes the concepts of “real” and “ideal” as the process of supplementing and replacing each other and realizing humanity. This process manifests not in length, in continual alignment, but rather in thickness, with layers of cases. Accordingly, there were revolts and mop-ups on Jeju- do Island on April 3, 1948, and riots, martial law, and garrison actions in Busan and Masan on October 16, 1979. These government-fabricated official memories were created as two identities of our “Modern Country” —a nation-state and a single-race nation—confronting the imperialism in East Asia and facing the Cold War Era. By using the struggle of memory as a new voice—the legitimate recognition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could be secured. This legitimacy is grounded in the idea that the April 3 Jeju Uprising and the Bu-Ma Democratic Protests, despite having considerable differences as to time of occurrence, scale, and the object of the struggle, have in common the memory that they fought against unfair national violence and the assumption of power that was not legitimately granted by the people.

목차

1. 머리말
2. 기억과 감계(鑑誡)
3. 기록과 정명(正名)
4. 기원과 대대(對待)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치완(Kim Chi-Wan). (2019).유가(儒家) 역사관으로 본 부마민주항쟁과 제주4·3. 문화와융합, 41 (6), 1025-1066

MLA

김치완(Kim Chi-Wan). "유가(儒家) 역사관으로 본 부마민주항쟁과 제주4·3." 문화와융합, 41.6(2019): 1025-10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