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으로 바라본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이용수 775

영문명
Musical Audition Reality Shows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a Aesthetics of Walter Benjamin With a Focus on JTBC’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지만(Kim Ji-man) 이선영(Lee Sun-young) 이대현(Lee Dae-hy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6호, 145~18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1세기 디지털 매체와 대중음악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1930년대 벤야민이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에서 기술의 발달이 예술의 형식은 물론 기본적인 개념까지 변화시킬 것이라고 했던 그의 주장은 21세기 매체가 대중음악에 미치는 영향력을 볼 때 오히려 시간이 갈수록 굳건해지고 있다. 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일상화는 대중이 음악을 수용하는 지각개념과 향유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대중의 음악작품을 생산하는 핵심적인 주체로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대중이 음악 생산자와 적극적 비평가로서 변화하면서 텔레비전에서는 점차 전문 방송인 보다는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쇼의 비중을 늘리고, 시청자 참여를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한다. 이러한 리얼리티 쇼의 주류화는 제작자의 의식과 의도를 넘어서, 이 시대 대중의 지배적인 가치를 반영하여 시청자들의 정서과 욕망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벤야민의 「기술복제」에서 밝히고 있는 ‘기술’의 의미와 유희의 확장, 그리고 대중과 예술 수용방식의 변화를 근간으로, 최근 방영된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슈퍼밴드>의 대중적 함의를 매체 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프로그램의 경연구조, 참여자들이 사용한 악기의 종류, 공연 연주곡, 인터넷 시청자들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 <슈퍼밴드>에 나타난 대중음악의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대중음악의 내용적 확장이다. <슈퍼밴드>에서 참여자들이 선보이는 컴퓨터 음악과 사운드처리, 고정된 락(rock) 밴드의 구성을 넘어선 다채로운 악기의 구성과 클래식 악기의 조화, 시각적 무대배경과 퍼포먼스는 매체의 영향으로 다양성, 감각적, 문화적 경험을 선호하는 시청자들의 정서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둘째, 대중음악의 존재론적 확장이다. <슈퍼밴드>의 연주된 곡들의 78%는 과거의 숨은 팝 명곡이나, 현재의 아이돌 음악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무대공연을 펼쳤으며, 시청자들은 무대에서 새롭게 편곡된 곡과 원곡을 비교하면서 청취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음악 행위자들의 원곡의 해석적 실행은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핵심적 음악 원리로서 음악작품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열린 텍스트이며, 작품의 질적 정체성은 무한히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슈퍼밴드>가 대중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가 대중음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중매체는 대중의 사고와 수용양상, 산업의 방향까지 바꾸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벤야민 사유의 근본 전제인 예술 자체의 성격이 사회경제구조와 의식 및 일상적인 감각적 습관의 전반적인 변화와 더불어 역사적으로 변화한다는 역사 유물론적 시각이 디지털 테크놀로지시대의 대중음악의 변화에 지금도 적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21st-century digital media and popular music in the 21st century are changing and developing in close relation to one another. Walter Benjamin’s contention in his 1930’s essay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will change not only the form but also and the basic concepts of art is being borne out to an even greater degree with time, as evidenced by the effect of 21st -century media on popular music. This is because advancements in digital media and the proliferation in the everyday use of smartphones in everyday use are changing how the public perceives and enjoys music, and transforming the public into a core entity for producing works of music. As the people public becomes a producers and active critics of music, the weight importance given in television of to television’s music musical audition reality show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ordinary people has increased compared with relative to those starring professional television personalities. Furthermore, and viewer participation is being actively utilized in these programs. The production of such This is because the mainstreaming of such reality shows not only reflects the thinking thoughts and intentions of television producers, but also and the dominant values of the general public of this generation, and thus thereby satisfyingies the sentiments and desires of viewers. Based on these trend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ublic implications of the recently broadcast musical audition-based reality show “Superband.” This is done from a media aesthetics perspective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spiel as set forth in Benjamin’s “Mechanical Reproduction,”, and changes in the general public and the way music is accept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competition,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by participants, the songs performed on the program, and the online comments left by viewers on the internet, we found revealed that “Superband” brought to view introduced the following two major changes in popular music. The first is an expansion in the content of popular music. Computer- based music and sound processing, the use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configurations of instruments beyond those used in standard rock bands and their use of such instruments in combination with classical instruments, and the visual stage settings and performances of the participants in “Superband” were found to satisfy the sentiments and desires of the viewers who preferred varied sensory and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he effects of media. The second is an ontological expansion of popular music. In “Superband,” 78% of the songs performed on stage in “Superband” were new interpretations of either obscure pop classics of the past or present-day idol music;, and it was found that viewers listened to the newly re-mixed songs while comparing them to their original versions. The reinterpretation of original songs by musicians practitioners of music is a core musical concept of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era, and shows that a work of music is not a fixed entity but an open text that is continuously reconfigured, and that the qualitative identity of that a work of music can be endlessly chang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슈퍼밴드> 프로그램 분석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만(Kim Ji-man),이선영(Lee Sun-young),이대현(Lee Dae-hyun). (2019).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으로 바라본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문화와융합, 41 (6), 145-184

MLA

김지만(Kim Ji-man),이선영(Lee Sun-young),이대현(Lee Dae-hyun). "발터 벤야민의 매체 미학으로 바라본 음악 오디션 리얼리티 쇼." 문화와융합, 41.6(2019): 145-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